정부가 현행 거리두기 단계와 방역 준수 기준을 2주간 연장하기로 했다.
정부가 현행 거리두기 단계와 방역 준수 기준을 2주간 연장하기로 했다.
정부가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와 방역기준을 설연휴까지 2주 연장하기로 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애로가 심화될 전망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31일 오후 3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정부는 현재 거리두기 단계와 방역 기준을 설이 끝날 때까지 2주간 그대로 연장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정부의 이번 결정은 쉽지 않았다"며 "가장 거센 3차 확산세를 설 연휴까지 확실히 안정시켜야만 백신 접종과 3월 개학이 차질 없이 이뤄지고 이를 발판 삼아 소중한 일상의 회복을 앞당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연장 배경을 설명했다.


확진자 수 줄었지만 안정세 장담 어려워

이어 "이번 방역 조치를 결정하면서 가장 가슴 아프게 다가온 분들이 바로 전국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라며 "두 달 이상 가게 문을 닫은 채 임대료만 내고 계신 유흥시설 업주분들, 영업시간이 줄면서 개점 휴업 상태로 하루하루를 버티고 계신 수 많은 자영업자분들을 생각하면 정말 안타깝고 송구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전국 자영업자 등의 피해가 우려되지만 3차 확산세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선 추가적인 거리두기 단계 연장이 불가피했다는 의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55명 늘어나 총 7만8205명이 됐다. 신규 확진자가 300명대로 떨어진 것은 지난 1월26일(349명) 이후 닷새만이지만 1주 일평균 확진자는 418명으로 여전히 2.5단계 기준(주평균 400~500명)에 머물고 있다.


정부가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설 연휴가 끝날 때까지 2주 더 연장하겠다고 밝힌 31일 서울 광장시장에서 한 상인이 TV로 거리두기 연장 발표를 시청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이성철 기자
정부가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설 연휴가 끝날 때까지 2주 더 연장하겠다고 밝힌 31일 서울 광장시장에서 한 상인이 TV로 거리두기 연장 발표를 시청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이성철 기자
특히 IM선교회 관련 확진자는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경남 등 시·도에서 전날에 비해 11명 추가되며 총 379명으로 늘며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정 총리는 "설 연휴가 끝날 때까지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여러분의 협조와 참여가 절실하다"며 "3차 유행의 마지막 고비를 하루빨리 넘어설 수 있도록 전국의 소상공인, 자영업자들께서 조금만 더 힘내 주실 것을 간곡히 호소드린다"고 당부했다.

백신공급 2월부터 본격화 전망

백신은 2월부터 공급될 전망이다. 정총리는 "이르면 2월 중순에 화이자 백신 11만7000도즈, 약 6만명분이 국내에 들어온다"며 "코백스를 통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WHO의 긴급사용 승인을 거쳐 상반기 중 최소 130만명분 최대 219만명분이 도입되고 이 가운데 최소 30만명분 이상은 2~3월 중에 공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개별 계약을 맺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식약처의 허가를 통과하면 2월 말부터 공급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제 1분기 백신 도입과 접종 일정이 한층 가시화됐다"며 "범부처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백신이 도착하는 즉시 차질없이 접종이 시작될 수 있도록 이번 주부터 진행될 모의훈련, 예행연습 등을 통해 실제 상황에 맞게 빈틈없이 대비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정부의 거리두기 연장으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추가적인 타격이 우려된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전국자영업자단체협의회 등 17개 중소상인시민단체는 지난 1월28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게를 열면 열수록 적자는 커지고 폐업을 하고 싶어도 철거비, 임대료 등을 감안하면 더 큰 빚더미에 앉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최소한 자정까지만이라도 영업을 연장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