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4일부터 본격 시행된 해외입국 내국인 PCR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의무화 시행 직후인 2월말 입국자들이 홍보부족을 지적하고 나섰다./사진=뉴스1
지난달 24일부터 본격 시행된 해외입국 내국인 PCR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의무화 시행 직후인 2월말 입국자들이 홍보부족을 지적하고 나섰다./사진=뉴스1

지난달 24일부터 본격 시행된 해외입국 내국인 PCR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의무화 시행 직후인 2월말 입국자들이 홍보부족을 지적하고 나섰다.
A씨는 "지난달 25일 미국에서 출발해 26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며 "현재는 음성확인서 미제출로 가족들과 함께 시설에서 격리 중"이라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A씨는 지난 두 달여 간 미국에 체류하다, 음성확인서 제출이 의무화된 25일 한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한국 입국을 앞두고 항공일정 확인과 검역관련 정보를 수시로 체크했다는 A씨는 "질병관리청, 인천공항, 여행사 등 각종 홈페이지를 검색했으나, 해외입국자 관련 내용을 찾아 볼 수 없었다. 외교부 공지 역시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A씨가 음성확인서 의무화를 인지한 것은 미국 공항에서 환승 탑승 직전 국내 항공사 직원을 통해서 였다. A씨는 "미국 올랜드 공항에서 탑승 수속을 받는 과정에서도 해당 사실을 몰랐다"며 "환승 직전 이었고 당장 PCR테스트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한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고 전했다.

현재 A씨 처럼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 시행 직후 확인서 없이 국내에 입국한 내국인은 인천공항 인근과 김포 공항 호텔에서 격리 중이다. 격리 비용 168만원(1인당 비용)은 자기 부담이다. A씨는 가족 단위이기 때문에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더 많다.

A씨는 "공무원의 공지의무 소홀로 인해 힘없는 국민만 억울한 상황에 처해 있다"며 "코로나 바이러스로 국가적 위기 사태라고는 하지만 시행초기인 만큼, 정부가 적극 홍보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A씨는 "지금도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어디다 어떻게 사전공지를 했는지 모르겠다"며 "24일부터 시행된 정책이 26일에서야 외교부에 공문이 왔다고 한다. 명백한 정부의 홍보부족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와관련 질병관리청은 충분한 사전 홍보가 있었다는 입장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는 관계부처 회의를 통해 외교부, 국토부, 해수부 등에 (사전) 안내가 됐다"며 "지난달 10일과 16일 질병청 보도자료를 통해서도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 내용이 안내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