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대통령이 4·27판문점선언 3주년을 맞아 평화의 가치를 강조했다. /사진=뉴스1 |
27일 오전 10시 청와대 여민1관에서 제18회 국무회의를 주재한 문 대통령은 "진통을 겪으면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평화의 시계를 다시 돌릴 준비를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이 8000만 겨레 앞에서 판문점 선언을 한 지 어느덧 3년이 됐다"며 "도보 다리의 풍경이 아직도 눈에 선하지만 하노이 북·미 회담 결렬 이후 교착 상태가 장기화되고 있어 매우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판문점 선언은 누구도 훼손할 수 없는 평화의 이정표"라며 "어떤 경우에도 판문점 선언이 약속한 평화의 길을 되돌릴 수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판문점 선언의 현실적 제약을 언급하면서도 한반도에 군사적 충돌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대외 여건과 현실적 제약으로 판문점 선언의 성과를 발전시키는 데 어려움이 많지만 남·북 관계의 크고 작은 악재 속에서도 군사적 충돌 없이 한반도 정세가 어느 시기보다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경색국면 속에서도 평화가 지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판문점 선언의 현실적 제약을 언급하면서도 한반도에 군사적 충돌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대외 여건과 현실적 제약으로 판문점 선언의 성과를 발전시키는 데 어려움이 많지만 남·북 관계의 크고 작은 악재 속에서도 군사적 충돌 없이 한반도 정세가 어느 시기보다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경색국면 속에서도 평화가 지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하지만 지금의 평화는 미완의 평화"라며 "판문점 선언의 토대 위에서 불가역적인 항구적 평화로 나아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5월 하순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이 한·미 동맹을 더욱 굳건하게 다지는 한편 대북정책을 긴밀히 조율하고 발전적으로 나아갈 방향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바이든 정부와 견고한 협력을 바탕으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전 시켜 나갈 길을 찾고자 한다"며 "남·북과 북·미 사이에도 대화 복원과 협력의 물꼬가 트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