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아 타이거즈 옛 에이스 윤석민이 30일 은퇴했다./사진=뉴스1 |
2009년 KIA 타이거즈의 통합 우승을 이끌었던 '옛 에이스' 윤석민(34)이 뒤늦게 팬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건넸다.
윤석민은 30일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은퇴식을 가졌다. 그는 이날 KT 위즈와의 경기에 앞서 시구자로 나가 마지막 투구를 펼쳤다.
그는 "오랜만에 투구해서 그런지 홈까지 거리가 멀게 느껴지더라. 꼭 스트라이크를 던지고 싶었는데 볼이 돼 아쉽다"며 "그래도 정말 재미있었다"고 웃었다.
2019년 12월 은퇴를 선언하고 1년 6개월 뒤에 진행하는 은퇴식이었다. 윤석민은 "그동안 구단과 의견을 조율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일정을 잡기가 쉽지 않았다. 더 늦춰서는 안 될 것 같아 오늘 은퇴식을 갖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2005년 신인 2차 1라운드 6순위로 KIA에 입단한 윤석민은 '최고 투수'가 됐다. 2009년 KIA의 통합 우승에 이바지했으며 2011년에는 17승 178탈삼진 평균자책점 2.45 승률 0.773를 기록하며 투수 4관왕 올랐다. 단일 시즌 승리, 평균자책점, 탈삼진, 승률 4개 부문 1위를 차지한 선수는 KBO리그 역사상 선동열 전 야구대표팀 감독과 윤석민, 2명뿐이다.
또한 태극마크를 달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2009년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준우승,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 등 국제대회에서도 맹활약했다.
하지만 윤석민은 2019년 시즌 종료 후 돌연 은퇴했다. 어깨 통증으로 재활했던 그는 정상적인 투구가 어렵게 되자 야구공을 내려놓았다.
윤석민은 "은퇴를 결정할 때가 가장 힘들었다. 재활하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며 "이후 푹 쉬면서 잘 추슬렀고 99%를 잊었다. 그렇지만 1%가 남아있다. 시간이 흐른 뒤 나를 되돌아봤는데 '향수병'처럼 하나씩 생각이 나더라. 이런저런 후회가 들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상이 가장 아쉽다. 누구보다 마운드에 오래 서고 싶었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며 "난 아직 젊은 편이다. 또래 선수들이 여전히 현역으로 뛰는 걸 볼 때마다 '어깨 관리를 좀 더 잘했어야 한다'는 후회가 든다. 그렇지만 이미 다 끝난 일"이라고 덤덤하게 이야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