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근배 (대한장애인체육회 제공) |
(도쿄=뉴스1) 도쿄패럴림픽 공동취재단 = 한국 장애인 역도의 간판 전근배(43·홍성군청)가 7위로 2020 도쿄 패럴림픽을 마감했다.
전근배는 30일 일본 도쿄 고쿠사이 포럼에서 열린 대회 역도 파워리프팅 남자 107㎏초과급 경기 1차 시기에서 200㎏을 들어 올렸다.
그러나 2차, 3차 시기에 연속 210㎏에 도전했지만 모두 실패, 결국 최종 기록은 7위에 해당하는 200㎏이 됐다. 동메달을 딴 파리스 알아질리(47·이라크)가 228㎏을 들었으니 메달권 선수와의 격차는 컸다.
241㎏으로 금메달을 딴 자밀 엘셰블리(42·요르단)는 1차부터 236㎏을 들었다. 만소우르 포우르미르자에이(41·이란)도 똑같이 최고 무게는 241㎏이었지만 1차 시기 기록(235㎏)이 1㎏ 적어 은메달을 땄다.
경기 후 충혈된 눈으로 공동취재구역(믹스트존)에 들어선 전근배는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전근배는 "원하는 결과를 이루지 못해 아쉽다. 지금은 사실 아무 생각도 나지 않는다. 빨리 집으로 돌아가 가족과 함께 푹 쉬고 싶다. 나머지는 그 이후에 생각하겠다"며 "김석환 군수님을 비롯해 홍성군 관계자들이 정말 많이 도움을 주시고 응원도 해주셨는데 보답하지 못해 아쉽다. 앞으로 더 열심히 준비해 그 기대와 응원해 보답하는 선수가 되겠다"고 말했다.
전근배는 원래 비장애인 역도 선수였다. 한국 나이로 스물 두 살이던 1999년 8월 교통사고로 하지 부분마비 지체 장애인이 됐다. 이후 재활을 거쳐 장애인역도에 입문했고 2012 런던 패럴림픽 때 100㎏초과급에서 동메달을 따면서 한국 장애인역도 간판선수가 됐다.
여자부 86㎏초과급에 출전한 이현정(35·경기도장애인체육회)은 90㎏을 들어 6위에 자리했다.
이현정은 "도쿄에 오기 전 어깨 부상이 있어 걱정이 많았다. 그런데 오늘 아침에 일어나 보니 어깨 컨디션이 썩 괜찮았다"며 "100점 가운데 90점을 주고 싶은 경기였다. 내일 집으로 가는데 언니와 조카, 그리고 강아지가 보고 싶다"고 말했다.
86㎏급에 출전한 이영선(54·부산장애인역도연맹)도 최고 기록 90㎏로 7위에 올랐다.
한편, 비장애인 올림픽 역도는 바닥에 있는 바벨을 인상과 용상 동작으로 머리 위까지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진행하지만 패럴림픽 역도는 벤치 프레스 스타일이다.
선수가 벤치에 등을 대고 누운 뒤 바벨을 가슴에 붙인다. 그 다음 심판 신호에 따라 두 팔을 뻗어 밀어 올리면 채점심이 성공 여부를 판가름하게 된다. 세 차례 시기 중 가장 좋은 기록이 최종 성적이 된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