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급성심근경색이나 허혈성뇌경색 발생 위험이 절반 이상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6일 '코로나19 예방접종에 따른 코로나19 감염 후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도에 대한 분석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근거기반 방역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 중인 빅데이터 활용 코로나19 민관 공동연구의 일환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코로나19로 인한 장기 후유증 감소, 예방 효과에 대해 분석한 첫 사례다.
연구에는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 교실 교수, 김영은 건강보험단 빅데이터전략본부 박사, 허경민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 등이 참여했다.
|
연구팀은 2020년 7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코로나19 확진을 받은 18세 이상 성인 59만2719명 가운데 백신 1차 접종자 등을 제외한 23만1037명을 대상으로 확진 이후 급성심근경색·허혈성뇌경색 발생률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2차 접종군은 미접종군보다 코로나19 감염 후 급성심근경색 발생 위험이 52%(95% 신뢰구간: 6~75%) 낮았고 허혈성뇌경색 발생 위험은 60%(95% 신뢰구간: 37~74%) 낮았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예방접종이 입원, 사망 예방과 함께 감염 후에 발생하는 급성 심근경색이나 허혈성 뇌경색 등 후유증 감소에도 효과가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예방접종 권고기준에 맞춰 기본 접종이나 추가접종을 받아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코로나19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과학적 근거를 도출하고 민간 학술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해당 연구는 미국의학회지(JAMA) 온라인판에 지난 22일 게재됐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