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스뱅크가 출범 1주년을 맞은 가운데 48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했다. 특히 중저신용자 가계대출 비중은 은행권에서 가장 높은 약 40%에 달하는 성과도 냈다.
토스뱅크는 지난 5일 기준으로 고객 수가 480만명을 넘어섰다고 12일 밝혔다. 하루 평균 1만3200명의 고객을 확보한 동시에 6초에 1명씩 고객이 늘어난 셈이다.
이용 고객은 20대(26.4%) 30대(23.9%) 40대(22.9%) 50대 이상(19.7%) 10대(7.2%) 순으로 고르게 분포했다.
연 2.3% 금리(세전)의 '토스뱅크 통장', 수시로 대출한도를 확인할 수 있는 '내 한도 조회' 서비스에 기반한 대출상품이 여수신의 안정적인 성장을 견인했다.
지난 5일 기준 수신 잔액은 총 22조4000억원, 여신 잔액은 총 7조2000억원(개인 6조2150억 원, 개인사업자 9850억 원)으로, 출범 1년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가운데 가장 안정적이고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토스뱅크가 1년간 포용한 중저신용 고객의 비중은 가계대출 가운데 39%를 차지해 전 은행을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를 달성했다. 인터넷전문은행 처음으로 선보인 전면 비대면 무보증·무담보 '사장님대출'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금융 사각지대에 적시에 자금을 공급했다는 평가다.
금융권 처음으로 시도한 '지금 이자받기'는 약 210만명의 고객이 한번 이상 이용했으며 약 173만(82.3%)명의 고객이 상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출시 후 7개월 간 고객들이 받은 이자는 총 1417억원에 달했다.
즉시 캐시백을 제공하는 토스뱅크 체크카드는 1년간 357만장이 발급되며 호응을 끌어냈다. 고객 1인당 월 평균 캐시백 이용 건수는 10.4건. 가장 많은 혜택을 누린 고객은 3% 즉시 해외 캐시백 등을 포함해 1년간 2100만원을 돌려 받았다.
토스뱅크가 1년간 제공한 ATM 출금 무료 서비스 횟수는 약 1억3850만건으로 고객들이 아낄 수 있었던 비용은 약 743억2000만원에 달했다.
토스뱅크는 중저신용자와 금융취약계층을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강화하는 데 더욱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자체 신용평가모형인 '토스 스코어링 시스템(TSS)'은 지난 1년간 안정적으로 운영되며 고객들의 대안 데이터를 발굴해 냈다. 토스뱅크는 여기에 AI 기술을 접목, '건전한 중저신용자'에 대한 선별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전세자금대출 등 고객 수요가 높은 상품들도 내년 중 선보일 예정이다. 비대면 주택담보대출과 모임통장 등 고객의 니즈를 새롭게 재해석한 상품의 출시를 위해 준비 중이다.
아울러 금융 보안도 강화한다. 토스뱅크는 현행의 '안심보상제'를 더욱 확대, 고객 구제방안도 강화할 방침이다.
홍민택 토스뱅크 대표는 "제1금융권에 대한 기존의 고정관념을 사용자 관점에서 혁신해 나가며 많은 고객들을 포용할 수 있었다"며 "이를 성장의 밑거름 삼아 보다 넓은 고객층을 기반으로 '포용에 기반한 혁신'을 이끌어갈 계획이며 '새로운 차원의 뱅킹서비스'를 선보이는 은행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