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진흥원이 비금융 대안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신용평가 모형을 개발했다./표=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진흥원이 비금융 대안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신용평가 모형을 개발했다./표=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진흥원은 비금융 대안정보를 활용한 '서민 특화 신용평가 모형'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서금원은 지난 6월부터 11월까지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서민 특화 신용평가모형'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개발에 돌입했다.


모형은 정책서민금융 이용자 등 약 510만명의 특성을 분석하고 기존 금융정보 외 ▲금융결제원이 보유한 자동이체 내역 등 데이터 ▲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휴대폰 정보 변동 내역 등 개인행태정보 ▲크레파스의 모바일 이용자 행동패턴 ▲서금원의 상환의지지수 등 다양한 비금융 대안정보를 반영했다.

서금원은 기존 신용평가모형에서 금융정보 비중을 줄이고 비금융 대안정보의 비중을 확대 적용해 정책서민금융마저 이용이 어려웠던 금융소비자에게 추가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중이다.

서금원은 지난 9월말 출시한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에 서민 특화 신용평가모형을 시범적으로 적용했고 향후 시범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햇살론 등 다른 정책서민금융상품에도 순차적으로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서금원 관계자는 "서민·취약계층일수록 금융정보만을 활용한 단순한 신용평가 보다 비금융 대안정보를 활용한 상환능력 평가가 더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서민·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여 서민금융 지원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