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재건축을 추진한 서울 용산구 이촌동 왕궁아파트가 종 상향과 용적률 완화 등이 주민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철회했다.
1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에 서울주택도시공사(SH)에 공공재건축 사전컨설팅을 신청한 왕궁아파트는 결과를 받고 사업을 중단했다.
왕궁아파트는 2018년 1대1 재건축을 추진했으나 당시 서울시와 의견 차이를 보이면서 결국 2019년 용적률 238%, 최고 35층 총 300가구(임대주택 50가구 포함)로 심의를 통과했다. 조합 측은 지역 특성을 고려해 종 상향과 용적률 완화가 가능한 공공재건축을 고려했다.
1974년 준공된 왕궁아파트는 현재 최고 5층 높이에 5개동 250가구로 구성돼 있다. 심의를 통과한 정비계획안대로라면 왕궁아파트는 임대주택만 50가구가 늘어난다.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허용 용적률은 최대 300%이지만 실제론 그에 훨씬 못미치는 238%에 그친다.
왕궁아파트 재건축 조합 관계자는 "종 상향이나 용적률 완화, 층수 상향 등을 기대하고 공공재건축을 신청했는데 반년이 넘도록 아무런 결과가 안 나와 더 이상 (공공재건축을)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공공재건축은 재건축 추진 단지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SH공사 등 공공기관이 시행자로 참여할 경우 일반주거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종 상향하고 용적률은 최고 500%, 최고 층수는 50층까지 고밀개발이 가능토록 지원하는 정책이다. 대신 증가한 용적률의 50~70%를 공공이 기부채납으로 환수한다.
SH공사는 조만간 왕궁아파트 사전컨설팅 관련 주민설명회를 열고 사업 참여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다만 서울시와 협의를 마무리 짓지 못했고 왕궁아파트 조합 측도 입장을 철회한 상황이어서 사업 추진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재건축은 정부에서 내놓은 정책이나 서울시에 인허가권이 있어 시와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왕궁아파트 조합은 민간 재건축으로 방향을 틀어 용적률을 260~270%로 더 올리는 방향으로 정비계획 변경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