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소방대원들이 실종자를 수습하고 있다./사진=뉴스1
16일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소방대원들이 실종자를 수습하고 있다./사진=뉴스1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지하차도·지하주차장 침수로 미리 대피하지 못한 시민들이 사망하는 사고가 매해 되풀이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의 더욱 강력한 선제적 대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지난 15일 오전 8시40분쯤 미호강 제방이 무너지면서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 제2지하차도에 6만t의 물이 들이닥쳤다. 이로 인해 시내버스 등 차량 15대가 침수됐으며 오후 5시 기준 9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추가 인명 피해는 계속 나오고 있어 사망자 수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지하 공간 침수로 인한 인명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20년에는 부산 동구 초량 제1지하차도에 시간당 최대 80㎜에 달하는 비가 쏟아져 차량 7대가 물에 잠기고 시민 3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해 9월엔 태풍 '힌남노'로 경북 포항 인덕동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인근 하천(냉천) 물이 넘어 들어와 주민 7명이 숨졌다.


올해 지하차도 침수 피해 역시 행정당국의 교통통제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었던 만큼 차량 통제만 제때 이뤄졌더라도 끔찍한 참사를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 은평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김모씨는 "운전을 하다보면 지하차도를 피해서 가는 게 쉽지 않은데 남일 같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매년 뉴스로 집중호우로 인한 사망자가 나오는 걸 보면 왜 미리 대비를 하지 않는 건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윤 대통령 "무리하다 싶을 정도로 통제하라"

윤석열 대통령은 16일(현지 시각) 폴란드 현지에서 중앙안전대책본후 회의를 화상으로 연결해 집중호우 대처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호우 피해상황 및 대응상황을 긴급 점검하면서 집중호우로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작년 힌남노 때 포항 아파트 지하주차장 문제도 결국 사전통제가 이뤄지지 않아서 벌어진 것 아닌가"라며 일부 지역의 사전통제 미비를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일부 지역에서 사전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 대해 "재난대응의 제1원칙은 위험지역에 대한 진입통제와 물길의 역류나 범람을 빨리 인식해서 선제적으로 대피 조치를 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지자체가 현장에서 신속하게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기상청, 산림청 등 유관기관은 위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재난피해에 대한 지원은 신속하게 이뤄져야한다"며 "행안부가 지자체와 함께 이재민에 대한 보호와 지원사항을 점검해서 국민불편이 최소화 되도록 신속하게 지원하라"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해외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는 대로 바로 중대본 회의를 직접 주재할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기후변화로 기상전망이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기상청은 지역별로 보다 세부적인 기상상황을 선제적으로 신속 전파해 달라"며 "경찰은 지자체와 협력해 저지대 진입 통제를 무리하다 싶을 정도로 해 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