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게재 순서
①탄소중립 '新 대세' CF100… RE100과 어떻게 다르나
②왜 CF100인가, 韓 대기업 RE100에서 선회
③"공감대 형성이 핵심" CF100, 국제 사회서 통하려면
①탄소중립 '新 대세' CF100… RE100과 어떻게 다르나
②왜 CF100인가, 韓 대기업 RE100에서 선회
③"공감대 형성이 핵심" CF100, 국제 사회서 통하려면
정부가 CF100을 국제 사회 규범으로 만들기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재생에너지 생산·활용 여건이 좋지 않은 한국의 단점을 보완하고 기업들이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를 따라가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국내 주요 대기업들은 현실적 탄소중립 대안으로 꼽히는 CF100으로 경영방향을 선회하고 있다.
'일석이조' CF100, 재생에너지 보완하고 기업 부담까지 경감
지난 10월27일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 추진을 위한 핵심기구인 '무탄소 연합'이 출범했다. 지난 5월17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CFE 포럼을 구성한 지 5개월 만이다. 무탄소 연합은 한국의 CFE 확산 모델을 전 세계로 전파해 기후 위기 극복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이뤄낸다는 목표다. 각국의 다양성을 존중하면서 '카본 프리'(Carbon Free) 경제에 기여하는 모든 CFE 관련 기술을 포용할 방침이다.무탄소 연합 출범은 윤석열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 윤 대통령은 지난 9월20일(현지시각) 제78차 국제연합(UN)총회 연설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앞당기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은 재생에너지뿐 아니라 원전, 수소와 같은 고효율 CFE를 폭넓게 활용하는 것"이라며 "CFE 확산을 위해 전 세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인 무탄소 연합을 결성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후 공식 출범한 무탄소 연합은 각종 국제토론회(세미나) 및 비즈니스 원탁회의 등에 참여해 국제 사회 공감대를 넓히고 있다.
정부가 무탄소 연합에 힘을 싣는 배경은 RE100에 취약한 국내 환경이 있다. 재생에너지 규모가 작은 한국은 재생에너지만으로 사용 전력을 모두 충당하는 RE100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기업 부담을 줄이기 위한 의도도 있다. 기업들은 주로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채우는데 REC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평균 6만3614원이었던 REC 현물가격은 올해 10월 8만424원으로 26.4% 올랐다. 정부가 전월 REC 평균가격이 전년도 평균의 120%를 초과하면 국가 REC를 입찰·매도하는 방식으로 가격 안정화에 나설 계획이지만 RE100이 유지되면 2050년까지 REC 가격은 계속 오를 것으로 보인다. 주요 기업들의 RE100 달성 시점이 2050년인 점을 감안하면 REC 수요가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무탄소 연합 가입하는 기업… 정부 "업계와 소통해 제도 구체화"
|
재계는 정부의 CF100 추진을 환영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환경 문제 등 지구촌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탄소 연합 결성 제안에 환영의 뜻을 밝힌다"며 "CFE는 탄소중립을 추진하는 기업에 현실적이고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무탄소 연합 이니셔티브를 통해 민간 투자를 촉진하고 글로벌 탄소중립 노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며 "경제계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을 약속한다"고 했다.
기업들도 현실적인 탄소중립 방안에 적극 호응하고 있다. RE100에 가입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등이 무탄소 연합 회원사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경제인협회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102개사 응답)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9.6%는 CF100 필요성에 공감했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고려할 때 재생에너지만으로는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어렵다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국내 재생에너지 조달여건(물량·비용 등)이 불리하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CF100 참여 의향은 17.6%로 저조했는데 구체적인 기준이나 이행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게 주효했다.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지금 당장 CF100 참여를 결정하기엔 부담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CF100 필요성을 느끼는 기업이 많은 만큼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면 참여 의향이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CF100 참여를 위해선 세제 혜택 등 재정적 인센티브나 계측설비 등 CF100 관련 인프라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CF100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점을 감안, 향후 논의 과정에서 산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해 참여 의향 인식 수준을 높일 계획이다. 산업부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기업이 실현할 수 있으면서도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든 무탄소 전원을 각국 사정에 맞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 현실에 맞게 CFE 활용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제도를 설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