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GTX-A‧C 연장 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경기와 충청 내 6개 지방자치단체 시장들과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한 상생 협약을 22일 맺었다. /사진=뉴시스
국토부가 GTX-A‧C 연장 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경기와 충청 내 6개 지방자치단체 시장들과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한 상생 협약을 22일 맺었다. /사진=뉴시스

정부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A·C 노선 연장을 추진하는 가운데 국토교통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추진 속도를 높이는 데에 손을 맞잡는다. 경기·충남 등 6개 지자체와 A·C 노선 연장 추진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본선과 동시 개통을 추진한다.

연장 시 수도권을 둘러싼 촘촘한 철도망이 구축돼 왕복 2~3시간이 걸리던 국민들의 출·퇴근 수고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GTX-A·C 연장 사업 관련 6개 지자체 시장들과 신속한 사업추진을 위한 상생 협약을 맺었다.

GTX-A 노선의 경우 기존 파주 운정-화성 동탄 노선을 연장해 평택 지제(20.9㎞)까지 잇는 방안을 추진한다. 양주 덕정-수원을 잇는 GTX-C 노선은 상단으로는 덕정에서 동두천(9.6㎞)까지, 하단으로는 수원에서 화성·오산·평택·천안을 지나 아산(59.9㎞)까지 연장한다.

이번 협약은 대통령 주재로 열린 여섯 번째 민생토론회(출퇴근 30분 시대, 교통격차해소)에서 2기 GTX 추진을 공식화한 이후의 후속 절차다.


출·퇴근길 고충에 시달리는 지역 주민들이 하루빨리 GTX를 이용할 수 있도록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를 비롯한 경기도와 충남도 6개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로 성사됐다.

협약식에서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GTX-A·C 연장사업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겠다"며 "C 노선 연장은 많은 이해 관계자가 함께 뜻을 모아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력과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어 "GTX 연장 시 수도권 집중의 가속화가 아니라 GTX 노선을 중심으로 우수한 인력과 새로운 투자수요가 모여 기업 입지 여건이 좋아지고 더 나아가 초연결 광역경제 생활권을 이루는 지역 거점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국토부도 지자체와 함께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C 연장 노선이 지나가는 동두천·화성·오산·평택·천안·아산 등 6개 지자체는 지난해 10월 자체 타당성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자체 부담사업 추진을 국토부에 공동 건의했다. 국토부와 국가철도공단은 이달 초 검증 용역에 착수했다.

A 평택 연장 노선도 이번달 말 타당성 검증에 착수할 예정이다. 올 3분기(7~9월) 안에 검증이 완료되면 연내 지자체와 국가철도공단, 운영기관 등이 신설과 운영에 관한 상호 위수탁협약을 체결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하게 된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일반절차 추진 시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이나 예비타당성 조사 등의 절차가 필요하지만 신속 절차로 추진할 경우 이런 절차가 생략돼 3~4년 정도 단축되면서 2028년 본선과 동시 개통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예측했다.

이어 "GTX의 혜택을 경기 남북, 충청권의 6개 지자체 주민들이 보다 빨리 누릴 수 있도록 타당성 검증 등 관련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GTX-A와 C가 연장되면 기존에 일반전철이나 광역버스로 1시간30분 이상 소요되던 동두천-삼성과 평택-삼성은 30분대로, 2시간가량 걸리던 천안-삼성 구간은 50분대로 통행시간이 크게 단축될 전망이다.

노선 연장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출·퇴근 편의 향상과 함께 수도권 북부와 남부, 충청권이 하나의 초연결 광역경제권으로 묶이게 된다.

수도권 외곽과 충청권 등 GTX 노선과 환승역을 중심으로 지역거점이 형성되면 해당 지역에는 새로운 투자 유입과 일자리, 주거 수요 창출 등 자족기능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