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마포구 '경의선 숲길'이나 프랑스 파리의 복합단지 '리브고슈'처럼 지상철도 지하화와 상부 철도부지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속도를 낸다.
26일 시에 따르면 다음달 지상철도 상부에 대한 도시공간 구상·개발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본구상 용역을 발주한다.
시는 정부의 철도 지하화 및 철도 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철도지하화 특별법) 제정에 맞춰 선제적인 준비 작업에 나섰다.
특별법은 지상 철도를 지하화하고 확보된 철도 부지와 그 주변을 국유재산 출자 등을 통해 개발하는 내용이며 내년 1월31일부터 시행된다.
현재 서울에는 총 71.6㎞의 국가철도 지상구간이 도시를 가로지르고 있어 소음·분진 문제를 비롯해 지역 단절 등의 문제가 끊임 없이 발생한다.
이에 지상철도를 지하화하고 도시 공간을 새롭게 재편해야 한다는 요구가 지속됐다.
시는 지난해 수립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지상철 전체 구간을 지하로 넣고 상부는 녹지, 문화·상업공간으로 조성하는 입체복합개발 방안을 담아냈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내년까지 전체 지상철도와 철도 상부에 대한 개발 구상을 수립한다. 노선별로 사업성 검토 등을 진행한 뒤 우선 사업 추진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서는 국토부에 선도사업으로 제안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올해부터 내년까지 철도 지하화 통합 개발에 관한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연말 선도사업 선정에 앞서 오는 9월 지자체로부터 제안을 받을 예정이다.
시는 앞으로 종합계획 수립이 완료되면 노선별 기본계획을 수립한 뒤 사업 시행에 착수한다.
시는 국토부의 종합계획에 서울시의 여건이 반영될 수 있도록 철도 지하화 방안을 빠르게 마련할 방침이다. 도시·건축·조경·교통·철도·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꾸려 기본구상 수립 방향도 설정할 계획이다.
이밖에 지상철도 구간이 포함된 15개 자치구와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지역 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의 의견도 청취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지상철도 지하화를 위한 발 빠른 대응과 서울의 도시 대개조를 통해 도시 경쟁력 향상, 지역발전, 시민을 위한 공간 확대로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