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8년 4월3일. 제주에서는 빨치산 세력을 잡기 위한 진압 작전이 펼쳐졌다. 해당 진압 작전으로 총 1만4442명의 민간인이 희생당하는 제주도 역대 참사가 벌어졌다.
지난 2020년 발간된 '제주 4·3 추가진상보고서'에 따르면 4·3 사건에서는 1만4442명의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했다. 하지만 해당 수치는 아직도 명확하지 않다.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는 민간인 희생자 수를 최대 2만5000~3만명으로 추정한다.
기근에 빠진 제주, 생활고에 남로당 사상 동조
|
1946년 제주도는 해방 직후 인구가 급증했다. 1944년 21만9000여명이었던 인구가 1946년 27만6000명으로 늘어난 것이다. 인구는 증가했는데 전국적으로 대흉년이 시작돼 당시 제주는 기근 상태에 빠졌다. 특히 1946년 여름 제주에는 콜레라까지 유행해 2개월 동안 36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공산 진영의 남로당이 1946년 제주도에서 공작을 시작했다. 남로당은 5·10 총선거 실시가 확실해지자 특수공작원을 본토에서 제주도로 파견했다. 전쟁과 기근으로 생활고에 시달리던 많은 제주도민은 당시 남로당의 반미사상에 동조했다. 제주 4·3 사건 발생 당시 제주도민 6만~7만명이 남로당에 가입한 것으로 추산됐다.
제주에서 남로당에 가입한 이들이 늘어나면서 1947년 3·1절 기념식에선 하나의 사건이 벌어졌다. 기념식에 참석한 3만여 군중 가운데 1만7000명의 남로당 군중이 미군정 통치 반대를 외치며 시위에 나선 것이다. 이때 기마 경관이 탄 말에 한 어린아이가 치여 소란이 발생했고 경관이 아이를 친 것을 무시하자 주변에 있던 3만여 군중이 경관에게 돌을 던졌다.
군중이 경찰서로 몰리자 경찰은 시위대에게 총을 발포했고 이로 인해 6명이 사망하고 8명이 중상을 입었다. 이 사건을 통해 남로당은 더 조직적으로 반경 활동을 전개했고 1947년 3월9일 제주도청을 시작으로 민관 총파업이 시작했다. 하지만 파업은 9일 만에 선동 주범 약 150명을 검거하면서 일단락됐다. 파업 사건으로 인해 미군정은 제주도민 70%가 좌익 또는 동조자라고 인식했다.
1948년 2월7일 남한 단독 총선거 일정 발표에 남로당과 민주주의민족전선은 전국적으로 대규모 파업을 일으켰다. 이 사건이 바로 제주 4·3사건의 전초전이었다.
평화협상 결렬되자 벌어진 대학살
|
2·7 사건 이후 1948년 4월3일 새벽 2시에 사건이 벌어졌다. 남로당 김달삼 등 350여명이 무장한 뒤 제주도 내 24개 경찰서 중 12개를 일제히 급습한 것이다. 이에 미군정은 해당 사건을 치안 상황으로 간주해 국방경비대에 진압 출동 명령을 내렸다. 국방경비대 제9연대 김익렬 중령은 경찰·서북청년단과 도민의 갈등으로 발생한 사건에 군이 개입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귀순 작전을 추진했다.
김 중령은 1948년 4월28일 무장대 책임자였던 김달삼과 평화협상을 체결했다. 그러나 국방경비대를 견제하기 위해 경찰이 1948년 5월1일 오라리 방화 사건을 일으키면서 결국 평화협상은 결렬됐다.
이후 김익렬 중령에서 박진경 중령으로 국방경비대 책임자가 바뀌었고 1948년 5월10일 제주는 계엄 상태에서 총선을 치렀다. 같은해 8월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이승만 정부는 제주 사태에 대해 정권 정통성 도전이라며 군 병력을 증파했다.
1948년 11월21일 제주 전역에는 계엄령이 내리면서 피바람이 불었다. 진압군의 소개령을 전달받지 못했거나 전달되기 전에 진압군이 민간 마을을 방화 또는 총격을 가해 집단 학살을 시행한 것이다.
'제주도 주둔 9연대 일일 보고서'에 따르면 1948년 11월21일부터 12월20일까지 토벌 작전에 희생당한 사상자는 1335명, 생포자는 498명이었다.
1949년 3월 제주도에 전투사령부가 설치되면서 진압과 선무를 병용한 작전이 전개됐다. 신임이었던 유재흥 사령관은 한라산에 피신해 있던 이들에게 귀순하면 사면해주겠다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때 많은 제주 주민이 하산했다. 사면정책 이후 1949년 5월10일 제주에는 재선거가 치러졌고 5월11일 제주도 2개 선거구에서 독촉국민회 홍순녕, 대한청년단 양병직이 당선됐다.
1949년 6월 제주도 인민유격대 사령관 이덕구가 사살되면서 사실상 제주도인민유격대는 궤멸했다. 이후 제주 상황은 정리됐고 1954년 9월21일 제주 4·3 사건은 발발한지 7년7개월 만에 막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