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26일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의 부동산 6채 보유 논란과 관련해 "(국민의힘의)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별위원회 위원장직에서 즉시 사퇴하고, 주택 안정화 협력 특위로 이름을 바꾸든지, 주택 싹쓸이 위원장으로 새로 취임하든지 선택하라"고 날을 세웠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10·15 부동산 대책 수정 주장에는 "국정감사에서 보여준 국민적 망신을 회복하기 위해 '정책제안쇼'를 하는 건 아닌지 스스로 답해야 한다"고 했다.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장 대표께서 6채가 모두 실거주용이나 다른 목적이 있다며 이재명 대통령과 김병기 원내대표까지 끌어들였다. 그 정도는 물타기 해야 자신의 '내로남불'이 가려질 것이라 계산하는 것인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민은 장 대표 6채 주택의 사연을 듣고 싶은 것이 아니다. 국민은 주택을 두 채도 아니고 한 채만이라도 내 집을 갖도록 소망하는 것"이라며 "구구절절한 6채로 절실·간절한 한 채의 꿈을 대신·대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를 향해서는 "6채가 8억 5000만원이라는 게 실거래가인가 아니면 공시가격인가"라며 "언론에 의해 금방 밝혀질 것이니 공시가격에 의한 것이라면 오늘이라도 스스로 사실을 밝혀주길 바란다"고 압박했다. 또 "싸울 때 싸우더라도 서로, 국민 앞에 겸손해야 한다"며 민주당 포함 국회의원 전원을 대상으로 한 주택 보유 현황 전수조사 제안에 응답을 요구했다.
국민의힘이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의 사퇴 이후에도 정부의 부동산 정책 비판을 이어가는 것에는 "메신저를 공격하다 메신저가 사라지니 이제는 정책 자체를 흔들어대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대책 발표 이후 국민의힘의 부동산 관련 논평 등이) 오전 10시50분 기준으로 모두 23건이 됐다며 "10·15 대책이 우려되고, 걱정돼 비판하려면 '어떤 점이 잘못됐으니 어떻게 하자'는 정책 제안이 절반은 있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자료는 찾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책에 부족한 점이나 걱정되는 점이 있으면 차분하게 지적해달라"며 "국민의힘은 서민과 실수요자, 국민의 내 집 마련 꿈을 걱정하는 듯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정부·여당 정책에 대한 비난만 있을 뿐"이라고 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오 시장의 SNS 글에 대해선 "감사하지만, 진정성과 정책의 적정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했다. 오 시장은 이날 "10·15 대책의 대폭 수정을 비롯해 정비사업 촉진을 위해 규제 완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폐지 등의 과감한 결단을 내리길 바란다"며 정청래 대표와 민주당에 필요하면 공개토론까지 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그날 국민 앞에서 답하지 않았던 궁금증을 답하는 것이 먼저"라며 "말씀하지 않아도 당내 TF를 통해 그 부분을 포함한 모든 대책을 충분하게 제도보완책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과 관련해서는 "당의 입장이 변한 건 없다"며 "국토교통위원회나 개별 의원 중심으로 아이디어 차원에서 논의됐던 것이고 당은 그걸 논의하고 있다거나 계획이 있다는 자체가 없다고 말씀드린다"고 했다. 앞서 민주당 일각에선 재초환 완화 또는 폐지 등이 거론돼왔다.
이날 예정된 의원총회에선 사법개혁안과 언론개혁안에 대한 지도부 설명이 있을 예정이다. 다만 당론으로 바로 채택하진 않는다. 박 수석대변인은 "주요 개혁안은 당내의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그것을 당의 통일된 의견으로 서로 소통하고 공론화하는 과정 거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감 증인 채택 여부에는 "오늘은 답변하지 않는 게 좋을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