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과 관련해 전공의와 대화하고 싶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전공의는 정부의 대화 제안에 회의적인 반응이다.
대통령실은 지난 2일 공지를 통해 "대통령실은 국민들에게 늘 열려 있다"라며 "윤 대통령은 의료계 단체들이 많지만 집단행동 당사자인 전공의들을 만나 직접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고 알렸다.
전공의들은 대통령실이 총선을 앞두고 정치적 목적으로 대화를 제안한 것 아니냐는 시각이 다수다.
뉴스1에 따르면 한 사직 전공의는 "대부분의 전공의가 총선용으로 이용만 당할 것이기 때문에 정부와의 대화에 응하지 말자는 의견이 대다수다"라며 "(정부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2000명을 발표한 후 지속해서 의사들에 대한 협박만 일삼으니 의사들은 정부에 신뢰를 잃어버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00명 증원) 철회 후 만나자는 의견이 (의사들 사이에서) 대다수인데 (정부는) 그러지 않고 만나자고만 하니 (의사들) 대다수는 납득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소통 없는 일방적인 정책 추진으로 정부는 의사들에게 신뢰를 잃었다는 의견이 많다.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서 사직한 또 다른 전공의는 "전공의들이 대통령을 믿지 않을 것이며 대화에도 나가지도 않을 것"이라며 "지금 (사직서를 제출하고 병원을 나온) 전공의들은 지난 2020년 의대생으로 있으면서 정부의 의대 증원 추진을 겪어봤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 추진 과정에 기본적으로 불신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정부의 만남 제안을 환영하지만 진정성을 보여달라는 입장이다. 의협은 지난 3일 정례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제안한 전공의들과의 만남에는 (의대) 정원 조정 등의 조건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대화를 원한다는 입장을 내비치면서도 지난 3일 국립의대 교수 증원 신청 발표 등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과 관련한 후속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면서 "지난주 비대위가 제안했던 대통령과 전공의와의 만남은 환영할 일"이라면서도 "어렵게 성사되는 만남이 의미 있어야 한다는 입장 또한 확고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