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교대 정시모집 합격점수가 하락세를 보였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2024학년도 교대 정시모집 합격점수가 하락세를 보였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교권 침해 논란 등으로 최근 교사 인기가 떨어진 가운데 지난해 교육대학 정시모집 합격선이 일제히 하락했다. 일부 과목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등급을 받은 학생도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종로학원이 전국 8개 교대와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의 2024학년도 정시모집 합격점수를 분석한 결과 9곳 모두 일제히 하락했다.


분석 대상은 25일까지 홈페이지에 2024학년도 정시모집 합격선을 공개한 곳이다. 경인교대와 대구교대, 이화여대 초등교육과, 제주대 초등교육과는 입시 결과를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

특히 공주 교대는 올해 일반전형 입시에서 국어, 수학, 탐구영역에서 6등급도 최종 합격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저 합격자의 수능 4과목 평균 등급은 3.88등급으로, 4등급대까지 합격했다.

자체 환산점수로 공개한 교대의 하락 폭이 컸다. 자체 환산점수가 공개된 대학 중 전주교대는 738.3→666.0점, 진주교대 689.8점→641.7점, 춘천교대 466.2→460.0, 서울교대 636.2→628.5점 등으로 모두 점수가 떨어졌다.


합격자 수능 평균 등급도 하락세를 보였다. 이를 공개한 대학 중 청주교대는 2.5→3.2등급, 진주교대 2.7→3.2등급, 춘천교대 2.8→2.9등급 등으로 모두 등급이 하락했다.

백분위 점수로 공개한 광주교대는 국어·수학·탐구 평균 85.5점에서 78.1점으로 과목당 평균 7.4점 하락했다. 부산교대는 국어·수학·탐구 평균 백분위 점수가 81.7점에서 81.1점으로 하락했다.

2024학년도 13개 교대·초등교육과의 정시 경쟁률이 3.20대 1로 2020학년도 이후 가장 높았던 것과는 대조적 현상이다.

종로학원은 수시 모집에서 수능 최저 점수를 맞추지 못한 학생이 많아져 수시 이월이 대량 발생, 정시 모집 인원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정시 모집 인원이 늘어났기 때문에 합격선 하락에 대한 기대 심리로 정시 경쟁률이 오히려 높아졌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