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마지막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전주와 같은 상승폭을 유지했다. 전세는 매매보다 상승폭이 컸지만 역시 전주와 같은 흐름으로 조사됐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월 다섯째주(2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전주와 동일하게 0.02% 떨어졌다.
수도권(0.00%→ -0.01%)은 하락 전환, 서울(0.03%→ 0.03%)은 상승폭 유지, 지방(-0.03%→ -0.04%)은 하락폭이 확대됐다. 5대광역시(-0.04%→ -0.04%)와 8개도(-0.02%→ -0.02%)는 하락폭이 유지됐고 세종(-0.23%→ -0.29%)은 내림폭이 커졌다.
시도별로는 ▲충남(-0.07%) ▲대구(-0.07%) ▲경남(-0.05%) ▲부산(-0.05%) ▲제주(-0.04%) 등은 하락했다. 반면 ▲광주(0.00%) ▲전북(0.00%)은 보합, ▲인천(0.02%) ▲강원(0.02%) ▲경북(0.02%) 등은 소폭 올랐다.
서울은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관망세 속 간헐적 급매 거래 진행되는 가운데 일부 지역 선호단지에서 상승거래 발생하고 매도희망가격 상승하는 등 지역·단지별로 혼조세를 보이며 상승폭이 유지됐다.
이밖에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2%)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7%→ 0.07%) 및 서울(0.07%→ 0.07%)은 상승폭 유지, 지방(-0.02%→ -0.01%)은 하락폭이 축소됐다.
5대광역시(-0.02%→ 0.00%)도 하락폭이 줄었고 세종(-0.24%→ -0.24%), 8개도(-0.02%→ -0.02%) 보합세다.
시도별로는 ▲인천(0.10%) ▲경기(0.05%) ▲전북(0.05%) ▲부산(0.03%) ▲강원(0.03%) 등은 상승했고 ▲전남(0.00%)은 보합 ▲경남(-0.05%) ▲대구(-0.05%) ▲충북(-0.04%) ▲제주(-0.03%) 등은 하락했다.
서울의 경우 정주여건이 양호하고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역세권·소형 규모 위주로 전세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며 상승 거래가 체결되는 등 매물 부족 현상을 보이며 오름세가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