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구조조정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통신 네트워크 부문을 떼내 자회사로 만들 계획인데 전출 인력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본사와 같은 처우를 보장하겠다고 했지만 쉽사리 지원자가 나오지 않아 자회사 신설이 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 미지수다.
29일 KT 제2노조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접수를 시작한 전출자 모집에서 신설 자회사 케이티오에스피(KT OSP·가칭)와 케이티피앤엠(KT P&M·가칭)으로 이동을 희망하는 인원(24일 기준)은 각각 793명, 102명이었다.
당초 인력 재배치 계획 초안에서 밝힌 두 자회사 인력 규모가 각각 3400명, 380명인 점을 감안하면 1차 신청에선 목표 인원의 4분의1 정도만 확보한 것이다. 게다가 해당 지원자도 실무가 아닌 팀장 등 관리자급이 대다수인 상황이다.
앞서 KT와 제1노조는 지난 17일 인공지능(AI)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인력 구조 혁신 등을 이유로 통신 네트워크 관리 업무를 이관한 신설 자회사에 인력을 재배치하는 구조조정 방안에 합의한 바 있다.
네트워크 관리 인력의 자회사 전출 접수는 지난 28일까지 진행됐다. 1차 신청이 끝난 다음날인 25일부터 이날까지 전사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업무 경험이 있는 직원들을 모집했다. 이미 해당 부서로 옮겨 적응을 마친 이들이 자회사로 이동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중론이다.
KT가 자회사 설립 문제에 안이하다는 비판이 뒤따른다. 김영섭 대표는 지난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자회사 전출 신청이 저조하지 않냐는 질의에 알려진 것보다 많은 인원이 신청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자회사 인력 확보는 어려울 수밖에 없어 의문이라는 시각이 많다.
3차 신청은 없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당면하게 될 인프라 관리 역량은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김영섭 대표는 "통신 인프라 관리 인원들은 나이가 많고 정년이 얼마 안 남아서 향후 5년에 걸쳐 3600명이 퇴직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대책은 전무하다는 평가다.
인력 누수가 계속되는데 전출 작업이 표류하면 2018년 아현지사 화재 사고처럼 통신 대란이 재현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희망퇴직만 바라는 인원만 늘어날 수밖에 없어 관리 인력을 보충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난 24일 기준 희망퇴직 신청자는 649명이며 다음달 4일까지 모집을 이어간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너무 급하게 추진하면서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며 "인원을 줄이는 데만 힘을 쏟으면 그에 따른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