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김포시장애인단체연합회가 김포시청 제3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사진=독자 제공
11일 김포시장애인단체연합회가 김포시청 제3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사진=독자 제공

김포시장애인단체연합회(연합회)는 "최근 김포시를 대상으로 집회 시위를 펼친 장애인 단체는 자신들과 관련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회는 11일 김포시청 제3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장애인 관련 단체의 집회로 인해 장애인 사회의 소통이 집단 이기주의로 왜곡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연합회는 입장문에서 "연합회는 10개 장애인단체가 모여있는 단체로 최근 집회 중인 집단과는 전혀 업무 연계성이 없다"며 "우리는 김포시 등록 장애인을 대표해 항상 대화와 협의로 시청을 비롯해 관내 유관기관과 업무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이런 우리의 활동이 최근 장애인 관련 기관의 집회로 인해 왜곡된 시각으로 비춰지고 있다"며 "동일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에 매우 유감스럽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김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이하 김포IL센터)는 김포시의 '임대료 지원 삭감'에 반발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는 김포장애인야학,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대, 경기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김포민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이 공동 주최했다.


김포시에 따르면 김포IL센터는 인건비 및 운영비로 매해 2억 1000만원, 중증장애인자립생활주택지원비 8440만원을 지원 받는다. 시는 센터의 잉여금이 약 7억원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자체 임대료 부담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여기에 인건비·운영비 지원의 잉여 예산 사용 내역이 불분명하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센터가 이월금으로 유럽 정책연수를 다녀온 것에 대해 보건복지부에 질의한 결과, 해당 연수가 장애인 복지사업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김포IL센터는 "장애인의 자립생활 권리를 침해당했다"며 예산 삭감 철회와 김포시장과의 면담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