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S리테일이 K콘텐츠 열풍을 타고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GS리테일은 올해 수출 실적이 900만달러를 넘어섰다고 26일 밝혔다. GS리테일 해외 수출 실적은 2017년 2억원을 시작으로 매년 증가했다. 2020년 '300만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22년 '700만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한 바 있다. 올해 실적으론 수출 첫해 대비 65배 이상 신장한 성과를 거뒀다. 7년 만에 1000만달러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GS리테일은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에서 글로벌 수출 경쟁력 향상, 상품 라인업 강화 등으로 수출을 확대했다. 국가별로 가진 식문화와 소비 트렌드를 고려해 시장에 진입하는 현지화 전략도 세웠다.
2017년 40여 종에 불과하던 수출 품목은 올해 기준 600여 종에 달한다. 수출 대상국은 유럽·북미·중동·아프리카·아시아 등 30여개국이다.
올해는 K콘텐츠 열풍으로 넷플릭스 IP 제휴 상품 10여 종이 200만달러 수출 성과를 달성했다. 전체 수출 실적 1위에도 올랐다. 특히 '오징어 게임' 시즌2 공개를 앞두고 달고나·에너지드링크 등 관련 상품을 앞세워 미국·호주에 위치한 다양한 유통 채널로 판로를 확장했다.
이외에 ▲오모리 김치찌개라면·공화춘·점보라면 시리즈 등 PB 라면 ▲카페25 생우유 카페라테 ▲고기 성분을 제외한 수출용 노미트(No meat)라면 ▲수출 전용 카카오스무디 등이 주요 수출 품목이다. GS25 가맹점에서 치킨·튀김 제조에 쓰이는 자동튀김기 등 시설 및 집기류와 무무씨 캐릭터 IP도 수출됐다.
GS리테일은 수출 대상국과 상품 라인업 확대에 속도를 내며 내년까지 1000만달러 수출액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할랄 등 신규 시장을 개척하고 현지 로컬 마트 등으로까지 신규 유통 체인망 진입을 늘릴 계획이다. K디저트 등 수출도 확대한다.
박지환 GS리테일 수출입 MD팀장은 "이번 성과는 GS리테일이 다년간 수출사업을 통해 쌓아온 노하우를 기반으로 수출 활로를 개척한 데에 따른 결과"라며 "우수 상품을 더 많이 수출해 K 편의점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리고 나아가 해외 시장 판로 개척을 통해 중소협력업체와 상생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