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1000억원을 투입해 민생경제활성화를 추진한다. 13일 조영완 창원시 경제일자리국장(사진 오른쪽에서 두번째)이 시청에서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사진=창원시
창원시가 1000억원을 투입해 민생경제활성화를 추진한다. 13일 조영완 창원시 경제일자리국장(사진 오른쪽에서 두번째)이 시청에서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사진=창원시

창원특례시가 내수부진과 고금리로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1000억원 규모의 민생경제 활성화 계획을 13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소상공인 지원, 전통시장 활성화, 맞춤형 일자리 창출 등 3대 분야에 초점을 맞춰 지역경제 회복을 도모한다.

창원시는 먼저 소상공인 경영난 해소를 위해 '착한 선결제 캠페인'을 추진한다. 공공부문에서만 2월까지 20억원 선결제를 목표로 한다.


상반기에 지역화폐 누비전 500억원을 발행해 소비심리를 끌어올릴 예정이다. 특히 설 명절을 앞두고 기존 150억원에서 200억원으로 확대 발행을 결정했다.

소상공인을 위한 신규 정책으로 카드수수료 지원사업과 경영환경 개선 사업도 시작됐다. 옥외 간판 교체, 디지털 인프라 설치 등을 지원하며 1월부터 구청 경제교통과에서 접수를 받고 있다.

전통시장에는 135억원이 투입된다. 시설 현대화, 주차환경 개선, 안전관리 패키지 등으로 시장 환경을 개선하고 특성화시장 육성 사업으로 경쟁력을 높인다.


주력산업 일자리 지원 분야에서는 항공, 자동차부품, 조선업 등 핵심 산업을 중심으로 지원책을 확대한다. 항공산업 노동자 훈련과 기술교육, 조선업 내일채움공제(600만 원)와 훈련수당 지원, 자동차부품업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장려금 등이 포함됐다.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정책도 추진된다. 진해 지역의 전역(예정) 장병의 전문성을 활용해 지역 산업과 연계하고 신중년(50~64세) 일자리 사업을 통해 채용 인센티브와 재취업 교육을 지원한다.

취업 취약계층에는 69억원 규모의 공공일자리 사업이 시행된다. 올해 1550명을 모집하며 신규 사업으로 치유농업쉼터 관리 등 20개 사업이 추가됐다. 모집은 1월 13일부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진행된다.

조영완 경제일자리국장은 "고금리·고물가 상황에서 시민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단기 지원을 넘어 경제 회복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