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분기 펀드시장 순자산(AUM) 1000조원 시대에 접어든 국내 펀드 순자산이 지난해 말 기준 1100조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리 인하 기대감에 채권형 펀드에 자금이 대거 유입됐고 ETF(상장지수펀드) 약진도 두드러졌다.
17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지난해 펀드시장 결산'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펀드 순자산은 1098조7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27조3000억원(13.1%) 증가했다.
전체 펀드 순자산총액은 지난해 1분기 1000조원을 돌파한 뒤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자금유출입으로는 한 해 동안 머니마켓펀드(MMF) -10조4000억원을 제외한 모든 유형의 펀드에서 자금이 순유입돼 전체 91조9000억원이 순유입됐다.
그중 채권형 펀드의 순자산이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채권형 펀드는 순자산은 172조6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34조4000억원(24.9%)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자금유출입 측면에서 보더라도 1년간 전체 유형 중 가장 많은 자금인 27조2000억원이 유입됐다. 금리 인하를 앞두고 1~3분기를 중심으로 순자산이 크게 늘었고, 4분기 말에는 소폭 감소했다.
|
또 ETF를 중심으로 주식형 펀드 순자산이 23조1000억원 늘어나 전체 유형 중 두번쨰로 큰 증가폭을 보였다. 자금 순유입도 16조2000억원으로 두번쨰로 많았다.
공모펀드 시장은 순자산 435조5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87조3000억원(25.1%) 늘어났고, 사모펀드 시장 역시 663조1000억원으로 40조원(6.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공모펀드는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는데 채권형 성장과 더불어 해외 주식형 ETF 순자산총액 증가가 두드러졌다. 채권형 ETF는 각각 전년 대비 22조7000억원, 27조7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주식형 ETF에서 해외 주식형 ETF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28.8%에서 지난해 말 53.2%로 빠르게 증가했다.
투자지역별로는 국내 투자 펀드 순자산이 697조3000억원으로 52조6000억원(8.2%) 늘었고, 해외 투자 펀드의 경우 401조4000억원으로 74조6000억원(22.8%) 불어났다. 비중은 국내 63.5%, 해외 36.5%로 해외가 전년 말 대비 2.9%포인트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