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 심판 6차 변론기일에서 발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25.2.6/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 심판 6차 변론기일에서 발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25.2.6/뉴스1

(서울=뉴스1) 정재민 기자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중 12·3 비상계엄 당시 핵심 역할을 했 군 장성 등에 대한 증인신문 일정이 마무리된 가운데 기존 윤 대통령의 주장과 정면 배치되는 군 수뇌부의 발언이 잇따르면서 진실게임 양상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은 현재 6차 변론기일까지 진행됐다.


지난달 23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시작으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현태 육군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 등이 증인 신문에 나섰다.

군 수뇌부의 증인 신문이 마무리 수순에 접어든 가운데 이들 대부분은 윤 대통령의 주장과 궤를 같이 하는 진술을 했지만 곽 전 사령관과 홍 전 1차장은 윤 대통령 주장에 정면 배치되는 증언을 내놓았다.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서 윤 대통령을 비롯한 증인들이 각각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 대통령,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헌법재판소 제공) 2025.2.4/뉴스1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서 윤 대통령을 비롯한 증인들이 각각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 대통령,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헌법재판소 제공) 2025.2.4/뉴스1

홍장원 "싹 다 잡아들여" 尹 지시 인정…尹 "말 안 된다"


홍 전 차장은 지난 4일 윤 대통령 앞에서 계엄 당시 윤 대통령이 전화로 '싹 다 잡아들여'라고 지시한 것을 인정하며 "말뜻 그대로 이해했다"고 말했다. 또 윤 대통령 측이 간첩을 잡아들이라고 지시했다는 주장에 대해선 "간첩 이야기는 나온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홍 전 차장이 12·3 비상계엄 당일 작성했다는 체포 명단 메모를 둘러싼 논쟁도 이어지고 있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의 지시 이후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정치인 등 체포 대상자 명단을 듣고 받아 적었다고 주장했지만 여 전 사령관 변호인단은 "여 전 사령관은 당시 '체포'란 말을 한 기억이 없다"고 반발했다.

윤 대통령은 같은 날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위치추적을 할 수 없다"며 "협력한다고 하는데 방첩사령관이 물을 이유는 없고 저 자체(홍 전 차장 진술)는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홍 전 차장에게 연락한 사실은 인정했지만 계엄 관련 대화는 나누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 심판 6차 변론기일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25.2.6/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 심판 6차 변론기일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25.2.6/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곽종근 "끄집어내라"…尹 "내란 프레임" 반박

전날 진행된 곽 전 사령관의 증인 신문에선 윤 대통령의 '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 여부와 국회를 봉쇄해 의원들의 정치 활동을 막으라는 지시 여부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자신에게 전화해 "국회로 들어가 안에 있는 '인원'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며 이를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말로 이해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인원이라는 말은 써본 적이 없다"고 반박하며 곽 전 사령관의 증언이 상식에 맞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나아가 자신에게 불리한 진술을 해 오고 있는 곽 전 사령관과 홍 전 차장으로 인해 내란 프레임과 탄핵 공작이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곽 전 사령관은 또 윤 대통령이 아닌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의원이 150명이 안 되도록 막으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했다.

다만, 국회 본청에 투입됐던 김 단장은 곽 전 사령관으로부터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는데 들어갈 수 없겠나'란 지시를 들었지만 '끌어내라', '국회의원'이란 단어는 없었고 150명이 국회의원 숫자라는 점은 나중에 알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백번 양보해서 '본회의장에 있는 의원이 정족수가 안 된 것 같다'고 하면 151명이라, 한두 명을 끌어내면 되는 문제가 아니다. 다 끄집어내야만 회의를 막을 수 있는 것"이라며 "곽 전 사령관은 '우리 병력으론 불가능하다'고 얘기하는 게 상식이지 묵묵부답했다"고 반박했다.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헌재 제공)2025.1.23/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헌재 제공)2025.1.23/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국회 봉쇄, 철수 지시, 국무회의 등 곳곳에서 충돌

이 밖에도 김 전 장관이 비상계엄 당시 윤 대통령이 최소 인원을 투입하라고 했고 국회 봉쇄 의도가 없었다고 한 주장도 군 수뇌부 사이에선 증언이 엇갈리는 모습이다.

김용현 전 장관은 국회에 대한 병력 투입 등은 국회 봉쇄가 아닌 질서 유지 차원의 "출입 통제"였다고 주장했고, 이 전 사령관 역시 국회 봉쇄 지시가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곽 전 사령관은 김 전 장관으로부터 국회 시설 확보 및 경계 지시를 받았다고 했고, 김현태 707특임단장은 당시 자신이 받은 임무가 '국회 봉쇄'였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다만 봉쇄의 의미는 적의 위협을 차단하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통과 후 윤 대통령이 군의 즉각 철수를 지시했다고 주장한 부분에 대해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나 김 전 장관으로부터 철수 지시를 받은 적이 없고 자신의 판단으로 지시했다고 배치되는 주장을 했다.

이와 별도로 김 전 장관이 탄핵 심판에서 일부 국무위원들의 동의가 있었다고 말한 것에 대한 여진도 이어지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날 국회 국조특위에 출석해 당시 국무위원 전원이 계엄 선포에 반대했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