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청년들이 머무는 도시 조성을 위해 다양한 청년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사진=창원시
창원시가 청년들이 머무는 도시 조성을 위해 다양한 청년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사진=창원시

창원시가 청년들의 지역정착을 돕기 위해 주거, 일자리, 교육, 문화 등 청년정책을 강화한다.

시는 올해 '청년 주거 기본조례' 시행을 통해 2028년까지 청년주택 2000호 공급을 목표로 청년 정책을 시행한다고 17일 밝혔다. 또한 월세 지원과 신혼부부 주택 구입·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등의 사업도 확대한다.


시는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집중한다. 올해 신산업 연계 일자리 사업(150명), 일경험 지원사업(50명), 지역 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163명) 등을 통해 청년들의 취업을 돕는다. 특히 구직을 포기한 청년들을 위해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최대 350만원의 참여 수당을 지급한다. 창업 지원도 강화해 3월부터 9개월간 월 최대 7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 기술창업 수당' 사업을 시행한다. 하반기에는 '청년 창업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교육 분야에서도 고급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을 추진한다. 지난해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시는 특성화고와 대학이 협업하는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창원대와 경남대의 글로컬대학 선정도 적극 지원한다.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을 활용해 지역 대학들과 협력하며 외국인 유학생 유치 지원을 포함해 인구 문제 해결에도 나선다.

청년 문화기반 확충을 위한 다양한 정책도 추진된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시행된 '청년 스포츠패스 사업'은 올해 지원 대상을 19~39세로 확대하며 '청년꿈터 지원사업'을 통해 창원·마산·진해에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한다. 또 19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콘텐츠 산업 육성, 문화예술패스 사업(1인당 15만원 지원), 청년 버스킹 사업 등을 진행한다.


홍남표 시장은 "청년이 떠나지 않고 정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주거, 일자리, 교육, 문화가 어우러진 청년 친화 도시 창원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