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의회에서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자녀 한 명당 1억원을 지원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박종철 부산시의원(기장군1 국민의힘)이 지난 17일 열린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부산시의 저출생 대책이 다른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비하다"며 "동시에 합계출산율의 반등을 희망적인 신호로 기점으로 부산이 처한 저출생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박 의원은 "저출생 문제는 부산만의 문제가 아니지만 부산은 30년 후에 30대 인구의 절반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돼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며 "최근 부산 공동주택 내 어린이집 절반이 공실이라는 사실이 부산 시민들 사이에서 '아이를 낳지 않는 도시'라는 현실을 실감케 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날 박 의원의 주장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 15년간 저출생 대책으로 280조원이 투입됐으나 역대 최저 출산율을 벗어나지 못했으나 2024년 기준으로 출산율이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만큼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했고 기혼 무자녀 집단의 출산 의향이 8.3%포인트 증가했다.
박 의원은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가 부산에서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부산만의 특화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대안 중 하나로 자녀 한 명당 1억원 지원을 적극 검토할 것으로 강조하면서 이는 아이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종철 의원은 "부산시는 출산 지원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자녀 한 명당 1억원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에 나서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