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의 해양수산업 정책에 '해'자도 없다는 강한 비판이 부산시의회에서 나왔다.
이승우 부산시의원(기장군2 국민의힘)이 지난 17일 열린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부산시는 해양수산업을 사장 산업으로 치부하고 이를 위한 투자를 외면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에 따르면 부산시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제6차 전략산업 육성 종합계획에서 해양산업에 투입될 예산은 1164억원으로 전략산업 육성 전체 예산 3조1263억원 중 3.7%에 불과하다. 2025년 '해양수산·어촌' 관련 예산도 전체 시 예산의 0.68%인 1128억원에 그치고 있다.
또 부산시가 2013년 동삼혁신도시 해양클러스터를 구축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성과가 부족하며 해양 관련 공공기관들이 모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사업 유치가 매우 부족하며 연구 성과도 미비하다. 해사법원 유치 활동도 미흡해 유치에 있어서도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이같은 부산시의 정책에 대해 이 의원은 해양수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해양수산업의 효율적인 발전과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촉구하며 "부산이 해양수도라는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해양수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이 의원은 부산시가 해양수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해양수산업 컨트롤타워 부서 신설과 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 △해양수산업 예산 대폭 확대와 전략적 분야 지원 강화 △두바이·싱가포르 모델 벤치마킹해 전략적인 해양수산업 투자 방안 모색 등을 강조했다.
이 의원은 "부산시는 해양수산업을 더 이상 방치하거나 무시해서는 안 된다"며 "부산시가 제안을 적극 수용해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해양수도라는 명칭에 걸맞은 미래 비전을 실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