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청 전경. /사진제공=안양시
안양시청 전경. /사진제공=안양시

2012년 전국 최초로 경부선 국철 지하화 사업을 제안했던 안양시가 19일 정부의 철도지하화 선도사업에 탈락하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안양시는 군포시와 서울지역 등 7개 지자체로 구성한 철도지하화추진협의회까지 만들며 철도 지하화 사업에 전력을 기울여 왔다.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민생 경제점검회의에서 경기 안산을 비롯해 부산, 대전 지역을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 대상지로 발표했다. 안양시와 서울지역은 제외됐다.


정부의 선도지역 발표만을 기다려왔던 안양시는 이날 정부 발표에서 제외되자 충격을 받아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가장 먼저 국철지하화 사업을 제안했던 만큼 경부선 석수역에서 명학역을 잇는 총 7.5km 4개 역사 구간 지하화를 이미 정해진 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역력했었다.

기대가 컸던 만큼 충격도 컸다. 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초대 회장까지 맞았던 최대호 안양시장은 오는 20일 시청에서 이와 관련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안양시는 2010년부터 도심을 가로지르는 경부선 철도 지하화를 지역의 성장을 이끌 역점사업으로 추진했다. 도심을 분절해 지역의 성장과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이기 때문이다. 서울지역 대표 명소인 총 6.3Km 거리 선형 공원 '경의선숲길' 사례처럼 안양권 철로를 지하화해 지역 성장을 견인하고 도심에 대변화를 일으킬 계획이었다.


이런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최 시장은 2012년 전국 최초로 경부선 국철 지하화 사업을 제안했다. 이 제안으로 서울 용산구와 동작구,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및 군포시 등 7개 지자체와 공동협약을 체결했다.

당시 안양시민을 포함해 7개 지자체 103만여명이 서명운동에 참여해 경부선 지하화의 동력을 마련하기도 했다. 2014년에는 경부선 지하화 기본구상 용역을 마무리해 그동안 10여 차례 국토부에 지속 건의, 10여년 만에 철도 지하화 사업을 끌어내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국토교통부는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지로 선정한 3개 지역은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무리가 없는 적정한 규모이고 재원이 부족하면 지자체가 보조하겠다는 약속을 받은 곳이라고 설명했다.

철도 지하화는 특별법에 따라 정부 재정 지원 없이 철도 상부와 주변 부지를 통합 개발해 발생하는 이익으로 비용을 충당한다. 상부 개발은 지자체가 담당하기 때문에 국토부는 지자체의 재원 마련 계획과 부담 의지를 주요하게 평가했다. 안산시는 지하화를 위해 인근 시유지를 내놓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는 수도권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구간은 지자체와 추가 협의를 거쳐 지하화 추진 방안을 발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