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미국 네바다주에서 열린 'CES 2025' AI 다기능 농업 로봇 모습. 사진제공=뉴스1
지난달 미국 네바다주에서 열린 'CES 2025' AI 다기능 농업 로봇 모습. 사진제공=뉴스1

경기도는 급변하는인공지능(AI)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AI·데이터 정책의 미래 종합계획을 담은 5년 단위 '인공지능 종합계획'을 수립한다고 20일 밝혔다.

2026년부터 2030년까지 미래 청사진을 담은 AI 종합계획은 챗GPT부터 딥시크 출현까지 급변하는 AI 환경에 대응하고 경쟁력 있는 AI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는 AI도민서비스 확대, AI산업생태계 조성, AI행정서비스, AI인프라 조성 4대 추진 방향을 마련했다.

다음 달부터 시작하는 연구용역에서 도는 국내외 시장 현황 분석과 도민 인식 조사를 통해 부문별 추진 전략을 수립하고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도민이 AI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AI 혁신 행정, 도민 서비스 발굴을 핵심 목표로 한다. 이 밖에도 인공지능 종합계획을 통해 도출한 핵심과제에 AI 기술을 시범 적용해 실질적 정책 구현 가능 여부를 검증할 계획이다.


각 산업 분야에 인공지능을 접목할 수 있도록 지원 조직득 설립하는 방안도 연구한다. 'AI종합계획'은 지난해 7월 전국 최초로 제정한 '경기도 인공지능 기본조례'에 근거했다. 앞으로 정부 차원에서 마련할 '인공지능 기본계획'과 연계 가능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AI국제영화제, 생성형AI 사전컨설팅 등 도 AI 선도사업의 사례를 참고해 빠르게 변화하는 AI 생태계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종합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