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사 전경. /박진영 기자
인천시청사 전경. /박진영 기자

인천광역시가 2026년도 국비 목표액 6조5000억원 달성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인천시는 20일 하병필 행정부시장과 황효진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 공동 주재로 '글로벌 톱텐 시티, 인천(Global Top 10 City, Incheon)' 실현을 위한 2026년도 국비 확보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는 정부의 건전재정 운용 기조 속에서도 전년도 목표 대비 3100억원이 증액된 국고보조사업 5조6000억원과 보통교부세 9000억원을 포함해 총 6조5000억원 이상의 국비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날 보고된 2026년 신규사업은 총 26개 사업으로 국비 2409억원 이상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문화산단 조성(68억원) △인천형 출생정책 '아이(i) 플러스 1억드림' 국가정책 전환(820억원) △K-패스 환급금 지원 기준 변경(223억원) △인천 소상공인 반값택배 지원(42억원) △북(北) 소음방송 피해 지원(130억원) △지역암센터 장비비 지원(12억원) 등이 포함됐다.

또한 인천시는 주요 현안사업 53건에 대해 총 1조363억원의 국비를 확보할 계획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1605억원) △인천발 KTX(500억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2826억원) △인천신항 진입도로 지하차도 건설(74억원) △부평·주안 국가산업단지 재생(44억원) 등이 포함됐다.


아울러 정부 예산 추경 편성이 가시화됨에 따라 추가로 15건 총 628억원의 국비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인천상륙작전 기념주간 행사(17억원) △2025 APEC 국제회의 인프라 개선(16억원) △수소버스 공차 운행 연료비 지원(12억원) △경인고속도로 연장과 지하화(10억원) 등이 있다.

인천시는 2026년도 국비 확보 매뉴얼을 제작·배포해 정부 예산 편성 과정부터 국회 예산심의까지 단계별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목표 이상의 국비 확보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