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금융당국이 A 카드사에서 발생한 문제와 관련해 수시검사에 나선 가운데 MBK파트너스를 대표해 해당 카드사에서 주요 보직을 맡은 김광일 부회장의 내부통제 책임론이 제기된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감원은 A사에 대한 수시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영업 상황 전반을 살피는 한편 내부통제 관련 검사도 실시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서는 A사가 기업에 빌려준 대출 원리금 연체와 관련해 충당금을 제대로 적립하지 않고 미수금 발생으로 회계 처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팩토링(외상매출담보대출) 영업중지 등의 당국 제재를 받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임직원 사이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A사 이사회 일원인 MBK 김광일 부회장이 이사로서 경영감시에 소홀했을 뿐 아니라 선관주의(선량한 관리자의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부회장은 2019년 10월 MBK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A사 지분 79.83%를 약 1조3810억원에 인수한 이래 기타비상무이사 직위를 유지해 왔다.
기타비상무이사 역시 사내이사, 사외이사 등 다른 등기임원과 마찬가지로 경영 실태를 감시하는 책임이 부여돼 있다. 2023년 6월 금융위와 금감원은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상 내부통제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하면서 이사회가 내부통제에 대한 최종적 책임을 갖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김 부회장이 기타비상무이사를 맡은 B사도 경영진의 비위로 물의를 빚었다. B사 전직 대표의 경우 지난해 3월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 등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받아 금융위 산하 증권선물위가 검찰에 고발했다.
전직 대표는 회계부서로부터 내부보고를 받으며 영업이익 급등과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이라는 호재성 미공개 중요정보를 인지했다. 이후 배우자와 지인 명의 차명계좌를 이용해 회사 주식을 매수해 거액의 매매차익을 챙겼다. 주식 변동내역 및 지분소유상황 보고 의무, 단기매매차익반환 의무도 이행하지 않았다는 것이 당국의 설명이다.
전·현직 대표의 비위 논란이 불거지면서 김 부회장을 비롯한 이사진이 경영감시에 소홀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있다. MBK는 2023년 1월 B사를 인수했고, 김 부회장은 같은 해 3월 주주총회에서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됐다.
이후 2023년 10월에는 B사 이사회 산하 윤리경영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윤리경영위는 임직원 윤리교육, 부정행위 감독기능 강화를 통해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는 데 초점을 맞춘 기구다. 윤리경영 정책 결정, 윤리규정 위반사항의 신고·접수 및 처리 등의사안을 심의하고 결의하는 권한을 지녔지만 사건을 막지 못했다.
공시에 따르면 김 부회장이 위원장으로 취임한 2023년 10월 이후 2024년 상반기까지 9개월 동안 윤리경영위 회의는 지난해 3월 한 차례 열리는 데 그쳤다. 회의에 오른 안건은 2023년 윤리경영 실적보고 단 한 건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