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의 메이크업 브러시를 빌려 썼다가 하반신이 마비된 한 호주 여성 사연이 전해졌다. 사진은 포도상구균에 감염돼 휠체어 생활을 하는 조 길크리스트의 모습. /사진=초우두리 박사 인스타그램 캡처
친구의 메이크업 브러시를 빌려 썼다가 하반신이 마비된 한 호주 여성 사연이 전해졌다. 사진은 포도상구균에 감염돼 휠체어 생활을 하는 조 길크리스트의 모습. /사진=초우두리 박사 인스타그램 캡처

한 호주 여성이 친구의 메이크업 브러시를 빌려 썼다가 하반신 마비로 휠체어 신세가 된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19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싱가포르 의사 사무엘 초우두리 박사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화장을 좋아한다면 이것을 공유하지 말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박사는 메이크업 브러시 공유가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15년 호주 여성 조 길크리스트는 여드름을 가리기 위해 친구 브러시를 빌려 쓴 후 박테리아 포도상구균에 감염돼 하반신이 마비됐다. 문제는 이 박테리아가 포도상구균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에 강한 내성이 있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이라는 점었다.

박테리아는 조의 얼굴에 있던 작은 상처를 통해 혈류를 타고 척추까지 이동해 감염을 일으켰다. 결국 조는 척수를 압박하는 농양을 제거하기 위해 응급 수술받았다. 하지만 감염으로 척추가 심하게 손상돼 걷지 못하고 몇 년 간 휠체어에 의존하며 살아야 했다.

의료진은 가슴 아래가 마비돼 다시는 걸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조는 1년간 물리치료와 훈련을 받은 끝에 2019년 한 TV 프로그램에서 걷는 모습을 보여줬다. 당시 그는 "다시 걸을 수 있었던 건 어린 아들 덕분"이라고 말했다.


초우두리 박사는 이런 사례가 극히 드물지만 특정 개인용품을 공유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보여준다고 경고했다. 이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며 "누군가와 메이크업 브러시를 절대 공유하지 마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