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권사 캡티브 영업으로 회사채 시장에 수요예측 교란이 발생한다는 의혹에 대해 증권업계에서 지나친 의심이라는 반론이 제기된다. 자료가 명확히 공개되지 않는 상황에서 벌어진 공방으로 금융당국이 더 적극 역할 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3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회사채 발행액은 32조4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8조7385억원 대비 11.3% 증가했다. 회사채 시장은 NH투자증권과 KB증권이 선두를 다투는 가운데 키움증권과 메리츠증권 등이 도전하면서 주관사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증권사는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해 채권을 구매해줄 투자자를 모을 때 발행 업무를 주관해주는 대신 수수료를 받는다. 이때 증권사나 그 계열사가 주관사 계약을 따기 위해 직접 수요예측과 채권 매입에 참여해 가격을 높인 뒤 염가에 매도한다는 논란이 수년째 제기됐다. 이른바 '캡티브 영업' 논란이다.
이에 대해 회사채 선두권 증권사 관계자는 "기업금융에서 채권 비중이 비교적 낮은 편이라 규정을 맞추기 위해 캡티브 투자를 조금씩 한 것"이라며 "업계 1~2위를 다투는 입장에서 금융당국 눈총과 경고를 받아 가며 시장을 흐릴 이유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증권사 주관 경쟁이 회사채 발행을 부추긴다는 일각 지적에도 "금리 인하기에 접어들면서 투자자들이 기대감을 가졌고 기업들도 발행 규모를 늘렸다"며 "증권사 경쟁이 치열해 발행 규모가 커졌다기에는 연관성이 약하다"고 반론했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도 "차이니즈 월(금융사 정보교류 차단) 규정으로 영업 부서에서 입찰 부서 업무를 알지 못한다"며 "서로 정보를 공유했다가 감사에서 걸리면 진짜 큰일 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 등이 회사채에 얼마나 투자했는지 등 정보는 영업 비밀이라 내부 관계자와 금융당국만 열람할 수 있다. 결국 의혹 제기나 반론 모두 시장 상황 등 정황에 근거할 수밖에 없는 셈이다. 이에 금융당국이 수년째 이어진 논란에 대해 실제 시장 교란 행위가 존재했는지 등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화영 자본시장연구원 체권연구센터 센터장은 "해외에서도 회사채 투자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데 기관 투자자별 투자 전략이 노출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라며 "캡티브 논란이 2~3년째 계속되고 있는데 공신력 있는 감독 당국에서 사실 확인을 우선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여러 가지 제보도 있고 해서 이번에 살펴보겠다는 말씀을 드렸다"며 "살펴보지도 않았는 데 문제가 있다거나 없다고 말하기는 조금 빠른 것 같다"고 답했다.
의혹이 계속해서 제기되는 구조적 문제도 언급된다. 장 센터장은 "회사채는 국채와 달리 거래가 활발하지 않아 적정가가 얼마인지 확인이 어렵다"며 "유통시장도 소수 대기업과 다수 증권사가 거래하는 발행사 중심이라 주도권이 발행사에 가는 문제가 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