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일 '제106주년 3.1절' 기념사를 통해 '삶의 교체'를 위한 개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대한민국 헌법은 1987년 마지막 개헌까지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근간으로 '시대 정신'을 담아왔다. 38년이 '1987년 체제'는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새로운 나라 제7공화국의 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계엄 대못 개헌'이 필요하다"며 "계엄에 대한 국회의 사전·사후 통제를 강화하고 5·18 민주항쟁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다시는 이런 불법 계엄을 꿈도 꾸지 못하도록 못 박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경제 개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토지공개념을 일부 도입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명문화해야 한다"며 "노동, 교육, 건강, 환경, 주거, 복지 등 국민의 경제·사회적 권리를 헌법에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권력구조 개편 개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제왕적 대통령제를 분권형 4년 중임제로 개편해야 한다"며 "결선투표제를 도입해 다수의 지지를 받은 대통령을 선출하고 선거제도 개혁으로 기득권 양당 구조를 깨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국민통합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디딤돌 이라며 역사 왜곡을 바로잡고 국민 통합을 위한 경기도 독립기념관을 건립해 역사와 미래, 지역과 세계를 잇는 대한민국 정신의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김 지사는 "윤석열 정부가 입힌 분열의 상처를 치유해야 한다"며 "경기도는 독립기념관 건립을 본격 시작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부지 선정 계획부터 마스터플랜까지 올해 안에 차곡차곡 세우겠다"며 "경기도 독립기념관을 국민통합의 구심점, '역사와 미래, 지역과 세계를 잇는 대한민국 정신의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자신했다.
마지막으로 김 지사는 "대한민국은 3.1운동의 정신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이 있어 비로소 대한민국"이라며 "3.1운동의 정신이 살아 있는 한 우리의 민주주의, 우리의 자유, 우리의 정의는 더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06주년 3.1절 기념식'에는 애국지사와 후손들의 독립선언서 낭독, 포상 수여, 기념공연 등이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