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카드 인기에 지난해 일부 지역에서는 예산이 일찌감치 소진돼 환급금을 실제보다 덜 주는 상황이 빚어졌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는 출근길 신도림역 모습. /사진=뉴스1
K-패스 카드 인기에 지난해 일부 지역에서는 예산이 일찌감치 소진돼 환급금을 실제보다 덜 주는 상황이 빚어졌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는 출근길 신도림역 모습. /사진=뉴스1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일부를 캐시백해주는 K-패스 카드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지난해 일부 지역에서는 예산이 일찌감치 소진돼 환급금을 실제보다 덜 주는 상황이 발생했다.

7일 뉴시스에 따르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를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K-패스에 참여한 지자체 189곳 중 25곳은 환급금을 일부 감액해 지급했다.


지자체 25곳에서 예산 부족으로 깎은 환급금은 4020만7000원 규모다. 지자체 16곳은 확보한 예산이 빠르게 소진된 탓에 환급금을 일부 깎을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9개 지자체는 K-패스 환급금을 지급할 지방비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환급금을 깎은 지자체를 지역별로 보면 충북 옥천군의 감액률이 49.3%(203만원)로 가장 높았다. 환산하면 1인당 8493원씩 환급금을 덜 받은 셈이다. 이 외에도 충북 충주시(35.1%), 제천시(28.3%), 청주시(20.5%), 충남 당진시(20.3%), 전북 완주군(18.0%), 경기 가평군(12.4%), 전남 목포시(11.8%) 등 순으로 감액률이 높았다.

감액 금액이 가장 큰 곳은 충북 청주시로 환급금 1676만2000원을 감액했다. 이 지역 K-패스 이용자는 1인당 3143원씩을 덜 받았다. 감액 지자체 중 환급 실적이 가장 많은 곳은 울산시로 2억5490만7000원을 환급했다. 감액금은 28만4000원으로 전체의 0.1% 수준이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지출한 대중교통비의 일부를 최대 60회까지 환급해주는 사업으로 지난해 5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일반인은 20%, 만 19세부터 34세까지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53%의 환급 혜택을 받는다. K-패스 가입자는 이달 기준 300만명을 돌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