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프=한국CXO연구소
/ 그래프=한국CXO연구소

3월 정기 주주총회 시즌에 맞춰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는 6년 전인 2019년보다 교수 등 학자 출신은 줄고 고위공직자 등을 역임한 관료 출신은 더 많이 영입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장·차관급 이사 거물급 인사의 이사회 진출은 2019년 때보다 눈에 띄게 두드러졌다. 일부 기업은 사외이사 자리를 줄여 이사회 규모가 축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9년과 2025년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 특징 비교 분석'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조사는 국내 50대 그룹 주요 계열사 등에서 6년 임기를 모두 채우고 사외이사를 의무 교체해야 하는 기업 중 이달 7일까지 '이사회소집결의서' 등을 제출한 42곳 대상이다. 현행 자본시장법 등에서는 같은 회사에서 사외이사로 재임할 수 있는 최대 기간을 6년으로 제한해놓고 있다.

이번 조사 대상 42개 기업 중 지난 2019년에 처음 이사회에 진출해 올해 주총 전에 물러나야 하는 의무교체 대상 사외이사는 56명이었다. 동일 기업군에서 올해 신규 영입된 사외이사는 55명이다.


55명 중에서도 2명은 1~3년 단위의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다른 인물로 대체했고 53명은 6년 임기를 모두 채우고 퇴진하는 사외이사 후임으로 영입됐다. 실질적으로 2019년 56곳이던 사외이사 자리는 올해는 53곳으로 3곳 줄어 전체적인 이사회 규모는 5% 정도 축소됐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사외이사를 줄인 곳은 ▲SK하이닉스 ▲두산퓨얼셀 ▲에코프로비엠이다. SK하이닉스는 2019년 때부터 활동해오던 사외이사 중 1명이 이달 3월 주총 전에 6년 임기를 채우고 물러나는데 후임 사외이사를 따로 영입하지 않고 공석으로 남겨뒀다. SK하이닉스는 기존 6명이던 사외이사가 5명으로 줄게 됐다.

두산퓨얼셀과 에코프로비엠도 각각 사외이사 2명씩 6년 임기를 채우고 떠나지만 이제호(두산퓨얼셀)·안완기(에코프로비엠) 사외이사 각 1명씩 신규 영입된 상태다. CXO연구소 측은 향후 사외이사에 대한 책임이 강화돼 이사회를 점차 축소하려는 분위기는 팽배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 2019년 당시 선임됐던 사외이사의 평균 연령은 당시 나이 기준으로 57.7세였다. 올해 신규 영입된 사외이사는 평균 58세로 소폭 증가했다.

올해 선임된 사외이사 중 50대는 줄고 60대가 다소 많이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2019년 당시 50대 초반(50~54세)과 50대 후반(55~59세) 출생자 비중은 각각 17.9%, 37.5%였는데, 올해는 10.9%, 18.2%로 낮아졌다. 60대 초반(60~64세)생은 23.2%에서 49.1%로 상승했다.

40대 젊은 사외이사는 2019년 8.9%에서 올해 12.7%로 상승했다. 올해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 중 1980년대생 중에서는 김주호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1982년생, 멀티캠퍼스)와 스티븐송 스카코리아 대표이사(1981년생, 금호건설) 등이 이름을 올렸다.

여성 사외이사는 2019년 당시 5.4%에서 올해는 7.3%로 늘었다. 올해는 ▲현대자동차 ▲SK바이오팜 ▲한진칼 ▲LG헬로비전 등에서 여성 사외이사를 새로 배출했다. 이중 현대자동차는 김수이 전 캐나다 연금투자위원회(CPPIB) 글로벌 PE 대표, SK바이오팜은 조경선 전 신한DS 대표이사 및 신한은행 디지털개인그룹 부행장 출신을 영입했다.

한진칼은 대구지방법원 부장판사 등을 역임한 조인영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LG헬로비전은 최수정 숭실대 경영학부(재무전공) 교수를 이사회 멤버로 낙점했다. 이들 역시 이번 주총에서 사외이사 안건 통과를 기다려야 한다.

올해 영입된 신규 사외이사는 6년 전과 비교해보면 기업체 CEO와 임원 등 재계 출신과 판·검사 및 변호사 등 율사 출신은 다소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반면 학자와 관료 출신은 희비가 크게 엇갈렸다. 대학 교수 등의 학자 출신은 2019년 대비 2025년 기준 48.2%에서 38.2%로 10%포인트 낮아졌지만 관료 출신은 12.5%에서 23.6%로 11.1%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고위공직자 중에서도 장·차관급 거물급 인사는 2019년 2명에서 올해는 8명으로 4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장·차관급 거물급 인사를 올해 신규 사외이사로 영입한 곳에는 삼성 계열사가 다수 속했다. 여기에는 ▲삼성생명보험(구윤철 전 기획재정부 제2차관 및 국무조정실 실장) ▲삼성중공업(김상규 전 조달청장 및 감사원 감사위원) ▲삼성E&A(문승욱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삼성바이오로직스(이호승 전 기획재정부 1차관 및 대통령실 정책실장)가 포함됐다.

이외 ▲DB하이텍(홍남기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HD현대에너지솔루션(이정섭 전 환경부 차관) ▲에스비에스(임환수 전 국세청장/최윤수 전(전) 국가정보원 제2차장)에서도 장·차관급 인사를 사외이사로 영입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