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화성 통탄2 A93블럭에서 열린 관리비 제로 아파트 비전 선포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앞줄 가운데)가 주요 인사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11일 화성 통탄2 A93블럭에서 열린 관리비 제로 아파트 비전 선포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앞줄 가운데)가 주요 인사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가 2040년까지 도내 공공주택 및 택지지구 등 신축 아파트 80만 가구를 대상으로 관리비를 대폭 절감하는 '관리비 제로 아파트' 사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1일 경기주택도시공사 현장 최초로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예비인증을 획득한 화성 동탄2 A93블록 장기전세주택 현장에서 이 같은 내용의 '관리비 제로 아파트 비전'을 발표했다.


'관리비 제로 아파트'를 실현할 해법으로 신재생에너지와 AI(인공지능) 기후테크를 제시하고, 4단계 계획을 밝혔다.

1단계는 공용 전기비용 제로화다. 아파트 단지 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주차장 조명, 가로등, 엘리베이터, 경비실, 관리사무소 등의 공용 전기를 자체 제공해 2026년까지 신축 아파트 18만 200가구 공용 전기비를 제로화하겠다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2030년까지 신축 아파트 40만 4000가구의 가정용 전기료 제로화다. 고효율 건물 일체형 태양광, 지능형 태양광 시스템 등을 확대, 보급해 세대 내 전기까지 태양광 전력으로 충당하겠다는 계획이다.


3단계 계획으로 2040년까지 신축 아파트 21만 7000가구의 냉난방 비용을 제로화한다. 하수, 폐수, 유출 지하수 등 버려지던 수열 에너지원도 적극 활용하겠다는 방안이다. AI 관리 시스템과 AI 관리 등을 아파트에 접목해 청소, 수리, 경비 등 유지관리비용 제로화하는 방안을 네 번째 단계로 내놓았다.

경기도는 이 밖에 실현 방안으로 에너지 자립과 돈버는 아파트, AI 첨단기술 도입 등을 추진한다. 에너지 자립으로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액티브(에너지 생산) 기술과 고효율 패시브(에너지 저감) 기술, 에너지비용 제로 아파트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추진하는 2029년 준공 예정인 하남 교산지구 내 임대주택 604가구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 '수열·태양광 활용 제로아파트'를 도입한다. 광역상수원 수열에너지를 활용한 냉·난방을 실시해 에너지비용의 50%를 절감하고,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에너지비용의 50%를 생산한다.

'돈버는 아파트'를 조성하기 위해 아파트 단지의 태양광 설비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관리법을 개정하는 등 규제 개선을 추진한다. AI 첨단기술, 건축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접목해 에너지 관리 효율을 극대화하고, 로봇 등을 활용해 관리비를 대폭 절감한다는 구상이다.

한편, 도는 공동주택 외에도 건축물 제로에너지건축물 보급․확산 정책으로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조성 중인 광명학온 공공주택지구 문화공원에 제로에너지 1(+)등급(에너지자립률 200%) 시범사업도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