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시 옹진군은 12일 고려고속훼리와 인천-백령항로 대형여객선 도입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실시협약 체결됨에 따라 고려고속훼리는 인천-백령항로에 총톤수 2000톤 이상의 쾌속카페리여객선을 신규 건조해 36개월 내에 운항을 시작하고 인천시와 옹진군은 그에 따른 20년간의 운항결손금을 지원하게 됐다.
인천–백령항로는 기상 악화 등으로 연간 60일에서 80일까지 여객선이 결항되고 있고 이런 기상 악화에도 안정적 운항이 가능한 2000톤급 이상 여객선의 운항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인천–백령항로를 운항하던 유일한 2000톤급 이상 카페리선인 하모니플라워호가 지난 2023년 5월 선령만료로 운항이 종료됨에 따라 이 지역의 해상교통여건은 더욱 악화됐었다.
옹진군은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2020년 2월부터 총 열 차례에 걸쳐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고를 실시했으며 지난달 고려고속훼리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협상을 진행했었다.
문경복 군수는 "인천 i-바다패스사업의 시행으로 선박 좌석 부족 등 문제점에 대비하기 위해 증회선 투입방안에 대해서도 이미 준비를 마쳤다"며 "백령, 대청, 소청 주민의 실질적인 교통편의와 인천-백령항로의 지속적인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중구, 주소기반 자율주행 캐리어 배송 로봇 서비스 추진
인천시 중구의 '주소기반 자율주행 로봇 활용 융복합 서비스 모델 실증'으로 올해 연말이면 인천공항에서 캐리어 배송 로봇 사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중구는 올해 행정안전부 '주소체계 고도화 및 주소기반 혁신산업 창출 공모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해당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현재 유아 동반 부모나 임산부,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경우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수하물을 찾아 주차장까지 이동 시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 위치 확인에 어려움이 있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구는 공항 제1여객터미널과 단기주차장에 주소기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캐리어 배송 로봇 서비스'를 제공해 이용객 편의를 증대할 계획이다.
◇ 연수구, 고위험 임산부·미숙아 의료비 지원
인천시 연수구가 '고위험 임산부,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사업'을 진행한다.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사업'은 조기 진통과 당뇨병, 다태임신 등 19대 고위험 임신 질환으로 입원 치료를 받는 임산부의 본인 부담금 전액과 비급여 진료비에 해당하는 금액의 90%까지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한다.
이 사업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에만 의료비가 지원됐지만 심각한 저출산 문제와 고령임신, 난임 증가 상황을 반영해 지난해부터 소득 기준이 전면 폐지됐다.
또한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사업'은 생후 24시간 이내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 치료한 미숙아에 대해 300만원에서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한다.
출생 후 2년 이내에 진단·입원 수술한 선천성이상아 의료비도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