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용인특례장은 지난해 4월 12일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만나 광교 송전철탑 이설과 관련한 시의 입장을 전달하고 있다. /사진제공=용인특례시
이상일 용인특례장은 지난해 4월 12일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만나 광교 송전철탑 이설과 관련한 시의 입장을 전달하고 있다. /사진제공=용인특례시

수원특례시가 광교산 송전철탑을 용인시 쪽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용인특례시가 강력히 반발하며 두 도시 간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13일 수원시의 일방적인 결정에 대해 "매우 무책임한 일"이라며 "이웃 도시 간 공동 발전을 저해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수원시는 지난달 '광교지구 도시계획시설사업(전기공급설비) 설치 공사'와 관련해 사업 시행자를 경기주택도시공사(GH)·한전에서 수원시장·한전으로 변경하는 공고를 냈다. 이에 대해 용인시는 공동 시행자인 용인시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용인시는 11일, 경기도, 수원시, GH에 '광교 송전철탑 이설사업 추진(도시계획시설 사업시행자 변경)에 대한 이의 제기'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을 통해 용인시는 "공동 시행자인 용인시와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원의 일방적인 사업 추진은 용인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용인성복자이2차 아파트에서 바라본 송전철탑의 모습. /사진제공=용인특례시
용인성복자이2차 아파트에서 바라본 송전철탑의 모습. /사진제공=용인특례시

시는 그동안 용인특례시 주민의 민원 해소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송전철탑 이전에 따른 반대 민원이 발생할 수 있으니 수지구 성복동 방향에서 송전탑이 보이지 않도록 할 것' 등을 수원시 등에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광교산 송전철탑 이설 문제는 2010년 수원특례시 영통구 이의동 소재 해모로아파트 주민들이 민원에서 시작됐다. 2012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일원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송전철탑 이설을 강력히 반대하며 갈등이 심화됐다.


국민권익위는 2021년 11월 고충민원 심의를 통해 '용인 시민의 민원 해소방안을 강구한 후 송전철탑 이설을 진행해야 한다'고 권고했지만, GH 측은 이를 무시하고 사업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시장은 취임 후 성복동 일원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민권익위원장에게 서한문을 보내고, 전화통화를 통해 용인의 입장을 설명하는 등 국민권익위 중재 등을 통한 원만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다.

지난해 4월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만나 '광교산 송전철탑 이설' 사업에 대한 용인시민의 반대 의견을 전달하고 경기도가 적절한 해법을 마련해 줄것을 요청했다.

시 관계자들도 송전탑 이설이 결정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공동 사업시행자인 경기도, 수원시, 경기주택도시공사 측에 용인 주민들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해달라는 뜻을 계속 전달해 왔다.

이 시장은 "송전탑 이설 위치가 수원시 관할이긴 하지만 조망권 침해 등 직접적인 피해를 보는 것은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주민들인 만큼 수원시는 용인시와 진지한 소통과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