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열린 공공기관 우선구매 설명회 모습. /사진=뉴스1
지난해 열린 공공기관 우선구매 설명회 모습. /사진=뉴스1

경기도가 지난해 사회적경제조직 공공구매 분야에서 5009억 원의 실적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5000억원을 넘어섰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2023년 4641억원 대비 368억원 증가한 수치로, 경기도의 사회적경제 육성 정책이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회적경제조직 유형별로는 예비·인증 사회적기업이 3594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사회적협동조합 1162억 원, 자활기업 213억원, 마을기업 40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2023년 '사회적경제 4대 비전'을 발표했다. 그중 하나로 '사회가치 구매 1조원 시장 조성' 목표 실현을 위해 2024년부터 '데이터 기반 구매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데이터 기반 구매혁신'은 분야별 구매 실적, 구매처, 시기 등을 분석해 공공이 구매가 가능한 분야와 조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경제조직이 공공시장 공략을 통해 자생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경기도는 먼저 조달 데이터를 분석해 기관별 맞춤형 정보를 제작했다. 물품·용역·공사 등 구매 항목을 세분화하고, 품목별 사회적경제조직의 실적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이 사회적경제조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뉴스레터 방식으로 주요 분야별 정보를 쉽게 제공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구매 분포와 시점을 파악했다. 공무원들이 활용하는 통합지방재정시스템의 구매자료를 분석해 사회적경제조직과 주요 거래하는 분야 및 유형별 거래 시기를 도출했다.

이 밖에도 기존 평가 설명 중심이던 설명회를 공공기관(수요처)과 사회적경제조직(공급처) 간 양방향 설명회로 개편하고, 민간위탁 사무에 사회적경제조직을 활용하는 전략과 나라장터 입찰 실무 교육 등을 제공했다.

공정식 경기도 사회혁신경제국장은 "공공서비스를 도민들에게 제공할 때,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사회적경제 육성의 핵심"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