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후 리스크가 기업 생산비 증가, 자산가치 하락 등을 통해 금융 시스템에 파급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8일 이창용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에서 금융감독원과 개최한 '한은-금감원 공동 기후금융 콘퍼런스'에서 환영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한은과 금감원의 분석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거나 대응이 지연될 경우 금융기관의 건전성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반면 "적절한 기후대응 정책이 시행될 경우 초기에는 고탄소 산업의 자산가치 하락으로 인해 금융기관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친환경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기후 리스크를 완화해 금융기관의 손실을 일정 수준 내에서 관리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금융기관에는 기후 위기로 인한 위험을 관리하는 역할만 아니라 위험을 수용하는 역할도 당부했다. 이 총재는 "금융기관은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리스크에 대해서는 위험 관리자(risk manager)로서, 전환 리스크에 대해서는 녹색 전환을 위한 자금을 공급하는 위험 수용자(risk taker)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미국의 파리협정 탈퇴 등으로 국제적 기후위기 대응 공조가 약화되는 움직임도 있지만 미래를 위해 적극적인 기후위기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탄소 감축이 장기 경제 성장과 금융 안정에 이익으로 나타났다"며 "긴 안목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고탄소 배출 산업이 밀집한 지방에 경제적 영향이 크므로 지자체 및 지방 소재 금융사는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올해 금융위, 환경부와 협의해 '전환금융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저탄소 전환 금융을 활성화하겠다"며 "지방 소재 금융사, 지자체와 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전사적 기후 리스크 관리 체계 정착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 원장은 "금융회사 경영진은 저탄소 전환에 대한 장기적 안목으로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는 만큼 금융권과 긴밀히 소통해 '기후리스크 관리 지침서'가 금융 현장에서 구현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