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활동가들이 2023년 9월 4일 서울 중구 신당역에서 '신당역 스토킹 살인사건 1주기 추모주간 선포'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뉴스1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2023년 9월 4일 서울 중구 신당역에서 '신당역 스토킹 살인사건 1주기 추모주간 선포'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뉴스1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들의 정책 욕구와 앞으로의 과제를 담은 보고서가 발표돼 주목받고 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보고서를 통해 경기도 청년정책 수립 시 성별 특성을 고려한 젠더 이슈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일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발간한 '경기도 청년의 정책 욕구와 향후 과제'에 따르면 청년기본법상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인구는 2023년 기준 약 280만명으로 전국 청년인구의 27.0%, 경기도 전체 인구의 27.7%에 달한다.

청년들이 전체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지만, 성별을 고려한 정책은 실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경기도 청년정책이 일자리·금융복지·주거·교육문화 등 영역별로 연령이나 소득·자격기준 등을 고려해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보고서는 젠더 이슈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과 성평등 정책 '수요'에 주목했다. 재단은 2023년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도민 2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도민 성평등 의식·실태조사'를 재분석했다.


이 중 19~34세 청년세대 586명의 응답을 살펴보면 취창업 지원·일생활균형·폭력예방·성평등 문화 확산 등 경기도가 추진하는 '성평등 정책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여성과 남성 모두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경기도가 성평등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데 대해 동의하는 비율은 높지 않았다. '동의한다'는 응답은 여성 19.9%, 남성 34.2%,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여성 47.9%, 남성 29.3%였다.

이는 청년층의 정책 체감과 정책 실효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심화하는 젠더갈등과 젠더폭력, 청년여성의 차별경험과 정책수요에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청년정책 추진 시 청년들의 젠더 이슈에 대한 적극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한 정책방향으로는 '젠더폭력, 일자리, 네트워크'의 세 개 주제어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경기도 젠더폭력 대응에 대한 성별 공감과 참여를 높이기 위한 청년 참여형 사업 확대, 청년여성들의 취업시장 차별 등 성별 특성을 반영한 실태파악과 정책설계, 젠더갈등·저출생·기후변화 등 사회적 가치를 공유하는 청년 네트워크 지원을 정책방안으로 제안했다.

노경혜 재단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청년들이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는 만큼 정책 설계에서도 다양성이 고려돼야 한다"며 "청년정책에서 부족한 젠더이슈를 반영해 정책의 효과를 높여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