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증권은 27일 현대글로비스에 대해 완성차가 미국 생산을 늘리면서 완성차 해상운송(PCTC) 매출액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란 우려는 과도하다고 평가하며 매수 기회라는 분석을 내놨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 16만4000원을 각각 유지했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대글로비스 고객사의 미국 현지 생산 확대는 PCTC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오히려 CKD(반조립 제품)와 해외 물류 등 다른 사업부문의 성장을 자극하는 구조"라고 평가했다.
현대글로비스의 핵심 사업 중 하나인 완성차 PCTC는 현대차·기아의 수출 물량 증가와 함께 크게 성장해왔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중국 제외 해외 생산은 최근 5년간 33% 증가했고, 같은 기간 한국에서 생산해 수출한 대수는 오히려 40% 늘었다. 미국만 놓고 봐도 2020년 대비 2024년 미국 도매판매는 49% 증가한 가운데 한국발 수출도 74% 늘어났다.
송 연구원은 "미국 내 수요가 늘어나면 현지 생산도 확대되지만, 그만큼 한국발 수출도 동반 증가하는 구조가 나타난다"며 "설령 관세 등으로 미국향 수출이 조정되더라도 타 지역으로 물량을 조정해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최근 수요 초과 국면에서 중국 완성차를 포함한 타 제조사 물량 확보에도 적극적이다. 이에 따라 PCTC 매출은 2020년 1조7000억원에서 2024년 4조원으로 135% 급증했다.
송 연구원은 "완성차의 해외 생산 확대는 CKD와 해외 물류 사업에도 호재"라고 분석했다. 실제 현대글로비스의 매출 구조에서 PCTC 비중은 14%에 그치지만, CKD는 40%, 해외 물류는 28%에 달한다. 부품 현지화율이 100%가 될 수 없는 만큼, 해외 생산이 늘어날수록 CKD과 현지 물류 수요도 동반 증가한다는 것이다.
현대글로비스의 2020~2024년 CKD 매출은 75%, 해외 물류 매출은 93% 늘었다. 부문별 수익성도 물류(8.4%) 해운(7.1%) 유통(4.2%) 순으로 나타나 물류사업 확대가 수익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라는 설명이다.
송 연구원은 "현재 주가는 예상 2025년 실적 기준 P/E(주가수익비율) 7배, 배당수익률 3.4%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매력도 충분하다"며 "현대글로비스의 중장기 성장성을 감안하면 최근 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