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미약품이 HM16390과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의 병용요법 개발을 위해 MSD와 손잡았다.
한미약품은 자사의 랩스 IL-2 아날로그(HM16390)와 MSD의 항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병용요법을 평가하기 위해 MSD와 임상시험 협력 및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스폰서로 HM16390 및 키트루다 병용요법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을 총괄 진행한다. MSD는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키트루다를 공급한다.
HM16390은 면역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조절하는 IL-2(인터루킨-2)를 차별화된 전략으로 새롭게 디자인한 차세대 IL-2 변이체다. T 세포의 증식 및 활성화를 유도하는 기전으로, 종양미세환경에서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하는 종양침윤림프구(TIL)의 수를 증가시켜 면역원성이 낮은 차가운 종양(cold tumor)을 면역원성이 높은 뜨거운 종양(hot tumor)으로 전환해 항종양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설계됐다.
현재 승인된 유전자재조합 IL-2 치료제 프로류킨은 부작용 문제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으로 권고되고 있다. 개발 중인 대부분의 IL-2 아날로그는 IL-2 베타 수용체의 결합력 조절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안전성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IL-2 베타 수용체의 결합력을 낮추면 혈관 누출 증후군과 같은 부작용이 줄어들지만 항암 효과는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IL-2 베타 수용체의 결합력을 높이고 IL-2 알파 수용체와의 결합을 제거할 경우 항암 효과는 강화되지만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등의 심각한 부작용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HM16390은 차별화된 개발 전략을 도입했다. 기존 IL-2 후보물질들과 달리 IL-2 알파 수용체 결합력을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약물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특징을 갖췄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항암 효과를 유지하면서 심각한 부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영수 한미약품 ONCO임상팀 이사는 "한미약품은 항암 영역, 특히 면역항암제 분야에서 차별화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며 "올 한해 다양한 학회를 통해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순차적으로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