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상황에 불확실성이 가득하다. 관세라는 무기를 휘두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말 할 것도 없고 곳곳에 도사린 전쟁 위험과 국지적 갈등 역시 글로벌 경제 도약을 가로막는 장벽이다.

한국의 경제 사정은 정치적 불안 요소까지 더해졌다. 전직 대통령의 비상계엄이 촉발시킨 탄핵 정국은 결국 조기 대통령 선거로 이어졌고 새 정부 출범까지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새로 들어설 정부는 글로벌 경제를 가득 채운 불확실성을 걷어내고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할 책임감이 막중하다. 각 정당의 후보들도 전국을 돌며 경제를 살리고 나라를 바로 세우겠다며 민심 잡기에 나섰다.

대선 때 마다 발표되는 경제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기업들은 조기 대선이 끝나고 기업을 옥죄는 규제 완화와 불안정한 글로벌 정세가 안정화 되는 데 있어 새 정부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 줄 것이라 기대한다.

새 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도약을 넘어 확실한 주도권 경쟁에 뛰어 들겠다는 각오로 뭉친 대표적인 산업군은 '방위산업'과 '자동차산업'이다.


이른바 'K-방산'이라 불리며 글로벌 시장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한국 방산 기업들은 수출 호재를 앞세워 100조원 넘는 수주잔액을 확보했지만 동시에 가시밭길 위기에도 놓여있다.

올 초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드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파국으로 끝나자 EU(유럽연합)는 '유럽 재무장'을 선언했다. 안보 독립에 속도를 높이기 위해 앞으로 4년 동안 방위비를 8000억유로(약 1200조원)로 늘리기로 결정했다.

EU는 유럽 내 생산 역랑과 연계시킨 이른바 '바이(Buy) 유러피안 정책'을 강조한다. 현지 생산 능력 확보를 위해 투자한 기업에만 수주 기회를 부여하겠다는 의도인 만큼 막대한 투자비용 부담이 따른다.

기업 앞에 놓인 막대한 비용 증가 우려에도 정부가 이끌어야할 선진국 수준의 혁신 생태계 구축과 규제 완화는 더디다. 이제 빛을 보기 시작한 K-방산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유지·발전을 위해 새 정부가 모색해야 할 장기적인 전략 방향성에 관련 기업들의 미래가 달렸다.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행보에 한숨짓고 있는 자동차산업 역시 새 정부의 외교력을 검증할 수 있는 시험대다.

글로벌 톱3 완성차업체인 현대자동차그룹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격에 수십조원의 비용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 현대차그룹과 연계된 수 많은 중소·영세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당장의 생계도 불투명하다.

상호 관세 부과를 두고 미국과 대립하던 중국이 외교력을 통해 진정국면을 이끌어낸 것처럼 국내 자동차산업은 새 정부가 선보일 외교력의 긍정 효과를 기대한다.

정치적 불확실성에 국격이 추락한 상황에서 컨트롤타워인 대통령의 부재를 장관급 실무진 회담으로 채우는 건 '계란으로 바위 치기'에 불과했다.

K-방산, 자동차산업뿐 아니라 수많은 기업들의 목표는 이익 추구지만 이익 추구의 결과는 한국 경제 발전으로 이어진다.

그동안 기업은 한국 경제 발전을 위한 역할을 충실히 해왔고 늘 준비가 돼 있다. 이제는 정부의 시간이 다가온다. '경제'는 새 정부가 짊어져야 할 무거운 '책임'이자 기업과 국민들이 바라는 첫 번째 '기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