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하나은행

하나은행이 만 40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준정년 특별퇴직(희망퇴직)' 신청받는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오는 7일까지 준정년 특별퇴직 신청을 접수한다. 이는 조직 재정비와 인력 구조 조정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신청 대상은 2024년 7월31일 기준으로 만 15년 이상 근무한 만 40세 이상 일반 직원이다. 희망퇴직 신청자는 인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선별되며 이달 31일 퇴사한다.

하나은행은 퇴직 위로금으로 연령에 따라 최대 28개월치 평균 임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또한 1970~1973년생 준정년 특별퇴직자에게는 자녀 학자금, 의료비, 전직 지원금 등 부가 혜택도 제공된다.

하나은행의 희망퇴직을 시작으로 신한은행, 우리은행도 희망퇴직 접수를 검토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2024년 674명의 희망퇴직자에 이어 올해에는 647명의 희망퇴직자를 받았다. 2023년 713명 등 10년간 평균 700여명이 희망퇴직으로 짐을 쌌다.


우리은행은 최근 전년 대비 66명이 증가한 429명의 희망퇴직자를 확정했다. 신한은행은 올해 희망퇴직 대상자를 30대 후반인 1986년생까지 늘리면서 희망퇴직자를 541명으로 확정했다. 전년 대비 2배 급증한 수치다. 최근 은행들이 희망퇴직 가능 연령대를 낮추면서 앞으로도 희망퇴직 신청자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희망퇴직 조건에서 부가 혜택을 늘리면서 평균 1억원 이상의 연봉을 받는 은행원들이 희망퇴직을 검토하는 분위기"라며 "한 살이라도 어릴 때 퇴직금을 받아 해외 유학을 떠나거나 전문 자격증을 공부하겠다는 이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은행 점포가 자취를 감추면서 매년 2000여명의 은행원이 은행을 떠나고 있다. 2024년 말 기준 국내 은행 전체 점포 숫자는 5792개로 관련 통계가 공개된 2001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내 은행 점포는 2012년 7836개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21년 6234개, 2022년 5948개, 2023년 5896개 등 매년 감소세를 보인다.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044개가 문을 닫았다. 2012년 12만7593명이던 은행원 수는 2024년 11만3882명으로 1만3711명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