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성시가 민선 8기 3주년을 맞아 산업, 문화, 교통, 복지 등 다방면에서 이룬 성과를 바탕삼아 '지속 가능한 도시'로 도약을 선언했다.
안성시는 '시민중심·시민이익'을 슬로건으로 도시 혁신과 변화를 이끌어내며, 지역의 정주 여건 개선과 도시 브랜드 제고를 향한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일 안성시에 따르면 시는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도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8000명이 증가하며 지난해 기준, 안성시 인구는 20만 8800여 명을 기록하며 '살고 싶은 도시'로의 위상을 높였다. 이중 생산가능인구(15세~64세)는 2000여 명 늘어 지난해 기준, 13만 3000여 명을 기록했고, 30대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등 젊은 세대의 유입도 두드러졌다.
또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태어난 출생아 수는 약 2400여 명으로, 안성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줬다.
산업 분야에서는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유치가 대표적이다. 동신일반산업단지는 오는 2027년 착공해 2030년 준공 예정이며, 총 고용창출 효과는 약 1만6천 명, 생산유발효과는 약 2조4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반도체 관련 조직개편 및 대학 연계 계약학과 운영 지원 등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을 가속화하고 있다.
문화관광 부문에서도 전국 유일하게 '대한민국 문화도시'와 '2025 동아시아 문화도시'에 동시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방문객은 역대 최대인 약 56만8000명을 기록했으며 금광호수 하늘전망대 등 수변 관광자원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교통 부문에서는 신분당선 강남역행 버스(4401번·4402번)와 송파 문정로데오거리행 버스(4305번) 신설로 광역교통 접근성이 크게 향상됐다. 전 시민 무상교통 사업 범위 확대로 아동·청소년까지 혜택을 넓혔고 농촌지역 대상 수요응답형 버스와 행복택시 운행으로 맞춤형 교통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복지 측면에서는 영유아 공공산후조리원 유치부터 청년 주거지원·창업 프로그램 운영까지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를 확대하고 있으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신설 등 생활 인프라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
김보라 시장은 "더불어 사는 풍요로운 안성을 위해 시민 체감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