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배우 위하준이 '오징어 게임 3'에서 캐릭터의 비중이 줄어든 게 아쉽지 않다며, 팀과 함께 할 수 있어 감사했다고 했다.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로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3'(극본/연출 황동혁, 이하 '오징어 게임 3') 출연 배우 위하준 인터뷰에서 위하준은 작품을 마친 소감을 밝혔다.
위하준은 "끝나고 나니 시원섭섭하다, 퍼레이드 때 시즌 1부터 제작한 영상을 보는데 울컥하더라, 작품을 떠나보내는 것 같아 기분이 묘하다"라고 말했다.
극 중 위하준은 은밀하게 진행되는 게임판을 추적하면서, 이를 멈추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황준호 역을 연기했다. 그러나 시리즈의 완결판인 시즌 3에서도 황준호는 마지막 회가 되어서야 게임을 하는 공간에 입성하고, 게임을 끝내는데 아무런 영향도 주지 못했다. 이에 극에서 황준호의 서사가 아쉽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황동혁 감독은 인터뷰에서 "준호는 맥거핀이었다, 결말이 바뀌면서 준호와 용병이 섬에 먼저 도착하면 안 되는 숙명에 빠졌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위하준은 역할 비중이 줄어들어 아쉽지 않냐는 질문에 "그런 건 전혀 없었다, 대본을 다 봤는데 감독님이 어떤 걸 의도하고 메시지를 전하고자 하는지 알았다"라며 "시즌 1부터 3까지 감독님과 함께할 수 있음에 감사했다, 수혜에 대한 욕심은 전혀 없었다, 너무 큰 사랑을 받아서 감사할 뿐"이라고 했다. 다만 "극 중 준호를 좋아하는 분이라면 그가 뭔가 더 해주길 바라지 않았을까 한다, 그 마음은 이해한다"라고 했다.
그러나 일부 시청자들은 '준호 팀은 그냥 도시어부 찍은 것 아니냐'라며 극에서 준호와 용병들의 존재감이 사라진 것을 비판을 하기도 했다. 이에 위하준은 "준호가 현실에서 발버둥 쳐도 희망이 없다는 걸 대표적으로 보여준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허탈함과 허망함을 표현한 게 아니었을까, 그런 부분에 공감해 주시면 인물이 더 짠하게 느껴질 듯하다"라며 "도시어부 밈을 만들어주신 건 재밌었다"라고 했다. 이어 "임팩트가 크지 않아도 그 사람만의 서사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게 배우로서 가치 있는 일인 것 같다"라고 사견을 전했다.
만약 실제로 위하준이 준호였다면 어땠을까. 이에 대해 위하준은 "그 배에는 '박선장'이라는 거대한 벽이 있지 않나, 그 시스템에 막혀서 이도 저도 할 수 없었을 듯하다, 그런 부분이 적나라하게 보인 게 사회 비판을 한 게 아닐까"라며 "박 선장이 있었다면 나도 준호와 비슷했을 것 같다"라고 했다.
처음 황 감독이 구상했던 엔딩처럼 준호와 용병이 섬에 일찍 진입했으면, 어떤 타이밍에 들어가는 게 좋았을까. 위하준은 "시즌 2에서 성기훈이 반란을 일으킬 때 준호와 용병들이 합세했으면 승산이 있지 않았을까, 그때가 좋은 타이밍이 아니었을까 싶다"라고 했다.
하지만 준호의 결말에 아쉬움은 없다고. 위하준은 "퍼레이드가 끝나고 감독님과 배우들 다 같이 식사를 했는데, 그때 감독님이 캐릭터 하나하나에 진심을 다했다면서 '어떻게 하면 살릴까 고민했다, 알아달라'라고 하셔서 '많이 노력하셨구나' 공감이 가고 짠하기도 했다"라며 황 감독의 마음을 이해한다고 전했다.
한편 '오징어 게임 3'은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만 기훈(이정재 분)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 분),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이야기다. 현재 넷플릭스에서 감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