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두천시(시장 박형덕)가 지난 8일 정부세종청사 회의실에서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열린 '미반환 공여지 관련 관계기관 회의'에 참석해, 시가 직면한 공여지 문제의 심각성을 설명하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9일 밝혔다.
동두천시는 지난 74년간 시 전체 면적(95.66㎢)의 42%에 해당하는 40.63㎢를 미군 공여지로 제공해 왔으며, 현재도 4개 미반환 공여지가 총 17.42㎢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11개 미반환 공여지(25㎢) 중 약 70%에 해당하는 규모로, 단일 기초자치단체로서는 가장 큰 희생을 감내해 온 셈이라는게 시의 호소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국가안보를 위해 공여지를 제공한 지역에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으며, 지난 1일 국무회의에서는 주한미군 미반환 공여지 문제에 대한 전향적 검토를 국방부에 지시했다.
이번 회의는 이러한 대통령 지시에 발맞춰 행정안전부가 주관하고, 국무조정실, 국방부, 국토교통부 및 공여지 소재 5개 시의 관련 부서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회의에서는 각 지자체의 반환 공여지 개발 현황과 제도 개선 요구를 청취하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동두천시는 △캠프 케이시 및 캠프 호비 등 미반환 공여지의 조속한 반환 △국가 안보상 장기 주둔이 필요할 경우 '주한미군 장기미반환 공여구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또는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개정 △국비 보조금 비율 상향 △지방교부세 특별지원 △발전종합계획 신규 사업 반영 △상패동 국가산업단지 및 반환 공여지의 국가 주도 개발 등을 공식적으로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