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임철수 / 하이지음 스튜디오 제공

(서울=뉴스1) 윤효정 기자 = 2004년 연극 무대로 배우의 길에 들어선 임철수. 드라마로 활동 반경을 넓혀 '사랑의 불시착' '빈센조' '정숙한 세일즈' 등에서 코믹한 감초 연기로 눈도장을 찍은 그는 최근 종영한 '미지의 서울'에서 새로운 변신에 도전했다. 웃음기를 지우고 냉철한 눈빛을 한 변호사 이충구로 분해 또 다른 얼굴을 보여준 것. 임철수가 연기한 이충구는 다리를 움직일 수 없는 선천적인 장애가 있으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재판에서 이기고 마는 변호사다. 자신을 롤모델이라며 따른 이호수(박진영 분)가 자신의 방식을 거부하자, 직접 상대 변호사가 되는 이충구. 그는 이호수를 더 강하게 압박하며 몰아세우지만 결국 이호수가 사람과 삶을 대하는 자세를 받아들이게 된다.

최근 뉴스1과 만난 임철수는 '미지의 서울'이 새로운 도전이었다면서, 부담보다 시청자가 자신을 어떻게 볼지 궁금증이 더 컸다고 했다. 임철수로서 배운 것, 또 이호수와 그를 연기한 박진영을 만나 배운 것을 돌아봤다. '미지의 서울'은 그에게 배움과 새로움을 안긴 드라마였다.


- '미지의 서울'을 마무리하고 어떻게 지내나.

▶차기작이 있어서 준비 중이다. '미지의 서울'을 본방 사수하면서 너무 좋더라. 오늘도 최종회를 또 봤다. 내가 이 작품을 진짜 좋아하는 것 같다. '미지의 서울'의 장면이 그렇다. 평범하지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그런 작품이다.

배우 임철수 / 하이지음 스튜디오 제공

-기존의 모습과 다른 역할을 맡게 돼 다른 의미의 작품일 것 같다. 시청자들의 반응이 걱정되진 않았나.


▶그간 분출하는 연기를 했다면 안에서 누르는 역할이다. 실제 성격이 밝아도 침착한 편이다. 나와 다르지만 비슷한 면인 진중한 모습부터 시작하려고 했다. 시청자 걱정보다 나를 어떻게 봐줄지 궁금했다. 이번 작품은 특히 '이런 캐릭터다' 보여주는 게 아니라 관계성이 중요했다. 상대방이 저를 만들어주는 게 많아서 거기에 더 집중했다. 캐릭터를 보여주려고 하면 이질감을 느꼈을 것 같다. 1, 2부 보고 주변에서는 어색했을 수도 있는데 나중에는 자연스럽게 이입이 됐다.

-주변에서는 어떤 반응이었나.

▶저도 작품을 쉬지 않고 했는데 이번에는 정말 연락을 많이 받았다. 다른 작품 작가님, 감독님, 관계자분들에게도 연락받고 주변에서도 많이 받으니까 열심히 한 보람이 있더라. 저의 다른 모습을 보여줘서 좋은 기회이기도 했다. 감독님이 캐스팅을 정말 변칙적으로 활용하셨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 말고도 다른 배역도 그랬던 것 같다. 감사했다.

-기존의 캐릭터와 다른데 어떤 모습 때문에 캐스팅이 됐을까.

▶처음 미팅할 때 감독님이 '단단한 사람이었으면 좋겠다'고 하셨다. 그 모습을 보신 건가 싶었다. ('더블스 에드버킷'의) 알파치노와 같은 느낌이 보였으면 좋겠다고 하셨던 기억이 난다.

배우 임철수 / 하이지음 스튜디오 제공

-이충구를 어떻게 표현하려고 했나.
▶대본에서 본 이충구와 현장에서 진영배우와 함께했을 때 이충구는 달랐다. 한 장면 안에서도 되게 달라지는 인물이었다. 즉흥성을 이용해 보려고 했다. (신체적으로) 제한이 있고 정적이지 않나. 한 컷마다 다르게 하려고 했다. 컷마다 달라지는 호흡, 높낮이, 웃음을 표현하려고 했다. 그걸 상대 배우인 진영 씨가 너무 잘 받아서 표현해 줬다.

-이충구는 어떤 인물인가.

▶선천적으로 (신체적) 문제가 있다고 나오는데 그로 인해 닫아야 하는 감각이 있을 것이다. 다리가 불편하니까 그걸 감추기 위해 좋은 구두를 신고 좋은 물건을 쓴다. 방어기제였을 것이다. 변호사가 되기 위해 닫은 감각이 있을 것이고, 어쩔 수 없이 결과론적이고 이성적이지 않을까 싶다. 호수는 그 감각의 밖에 있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러면서 시작이 된 거다.

-호수에 대한 이충구의 감정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이충구의 전사가 없어서 제가 상상한 것이 있다. (호수가) '싫어하는 사람이 누구냐'고 물었을 때 '저요'라고 답하는데 이충구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호수에) 스스로를 투영했을 것 같다. 닫았던 감각의 범주 안에 있는 사람으로 두고 싶었는데 (호수가) 튕겨 나갔고 그게 달갑지 않았지만, 다시 돌아오길 바랐다. 대척점에서 선 것도 '내 말이 맞아, 알려줄게, 여기로 돌아와' 깨우치게 해주고 싶었던 것 같다. 충구로서는 증명하려고 더 강하고 압박했다 하지만 아무리 잡으려고 해도 잡히지 않는 호수를 보고 인정하지 않았을까.

배우 임철수 / 하이지음 스튜디오 제공

-충구가 시간을 들여서 호수에게 그렇게 한다는 게 신기했다. 또 다른 의미의 관심, 사랑이 아닐까.

▶유튜브 영상을 보는데 '싫어하면서도 호수가 부르면 굳이 나간다' '굳이 그렇게 예쁜 스웨터를 입고 나간다'라는 댓글이 있더라.(웃음)

-충구는 앞으로 어떻게 살게 될까.

▶충구를 사랑하는 입장으로 바람이 있다면 호수와 같은 선택을 하고 (재판에서) 패배했으면 좋겠다. 충구가 느끼기에 호수처럼 해서 재판에서 패하더라도 다른 의미가 없는 것인지 생각하게 될 거다. 그걸 경험하면 충구는 더 좋은 변호사가 되지 않을까.

-호수와 충구의 차이는 언제부터였을까.

▶('언제부터'가 아닌) 둘 다 서로 자신이 생각한 모습의 사람이라고 생각한 거다. 강연으로 만났을 때 호수도 충구도 서로를 자기 생각대로 바라봤다. 충구는 '나를 보기 위해 지원하고 나와 같은 대답을 해?'라면서 보고 싶은 대로 본 거다. 오해는 아니지만, 그것 때문에 시작이 된 것 같다.

<【N인터뷰】 ②에 계속>